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뷰어스=김동민 기자] 대개 아이들은 어른보다 행복하다. 별 것 아닌 문제들을 무시하고, 대신 작은 일들에 한껏 즐거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 따위는 젖혀두고 당장 눈 앞에 벌어진 현실에 집중하는 아이들의 천진난만함은 어른들은 갖지 못한 강력한 무기인 셈이다. 이런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은 그래서 씁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제멋대로 고집을 부려가며 원하는 걸 얻어낼 수도, 낯선 누군가와 친구가 될 수도 있었던 아이는 어느 시점부터 세상이 그렇게 녹록지 않다는 걸 알게 된다. 영화 ‘홈’ 속 어른의 문턱에 접어든 한 소년도 마찬가지다. ‘홈’은 이제 막 중학생이 된 열네 살 소년 준호(이효제)의 이야기다. 남동생 성호(임태풍), 엄마와 함께 살던 준호는 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진 엄마를 대신해 졸지에 한 가정의 가장이 된다. 오래 전 엄마와 헤어진 친아빠는 제 앞가림하기 바쁘고, 기댈 곳이라곤 역시 엄마를 떠난 ‘아저씨’ 원재(허준석) 뿐이다. 친아들 성호를 자신의 집에 데려간 원재는 어쩔 수 없이 홀로 남겨진 준호까지 떠맡게 된다. 준호는 성호, 그리고 원재의 또 다른 딸 지영(김하나)과 함께 언제 끝날지 모를 동거 생활을 시작한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준호를 중심으로 엇갈리고 꼬인 혈연 관계는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준호는 아빠를 잃었고, 엄마는 아저씨와의 사이에서 성호를 낳았으며, 아저씨와 또 다른 여자 사이에는 딸 지영이 있다. 각각 엄마와 아빠라는 공통분모 속에서 남매 사이인 준호-성호-지영의 관계는 서로 피가 절반씩 섞였거나 또는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가족 구도를 형성한다. 서사가 전개될수록 드러나는 이들의 관계는 그 한가운데에 선 준호를 이도저도 아닌 주변인으로 위치시키며 분열되고 무너진 불완전한 가정의 그늘을 효과적으로 그려낸다. 이런 상황에서 부당한 ‘가정’과 사회의 폭력을 온몸으로 받아내는 준호의 모습은 영화 속 가장 쓰라린 지점이다. 이제 막 아이 티를 벗기 시작한 준호는 동생 성호처럼 어리광을 부리며 원재에게 매달리지도 않고, 그렇다고 의젓하게 홀로서기에 나설 만큼 성숙하지도 못하다. 그런 준호는 행여 버림받을까 아저씨의 눈치를 봐가며 전전긍긍하다가도 두 동생을 돌보며 조금씩 웃음을 되찾는다. 하지만 이 와중에 준호의 엄마와 함께 혼수 상태에 빠져 있는 원재 아내의 존재는 언제라도 무너져버릴 수 있는 가정의 울타리를 아프게 조명한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결국 ‘홈’은 관객에게 ‘가정은 무엇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질문을 던지는 데 성공한다. 아빠가 같거나 또는 엄마가 같은 형제, 그리고 엄마 아빠가 모두 다른 형제까지. 영화는 혈연 관계에 따라 가족의 범주를 규정하고 이들이 ‘함께 사는’ 문제를 결정하는 어른들과 사회의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는 가정 파탄에 처한 아이의 행복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미심장한 메시지이기도 하다. 어떤 아이는 새 아빠와 살고, 또 어떤 아이는 보호 시설에서 살아갈 수도 있다. 하지만 ‘홈’은 “저도 같이 살게 해 주세요”라며 울먹이는 준호의 얼굴을 통해 이렇게 외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우리가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하는 건 ‘아이는 누구와 어디서 어떻게 살기를 원하는가’의 문제라고. 5월 30일 개봉했다.

[씨네;필] '홈', 아이는 누구와 어떻게 가족이 되는가

김동민 기자 승인 2018.06.01 13:28 | 최종 수정 2136.10.30 00:00 의견 0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뷰어스=김동민 기자] 대개 아이들은 어른보다 행복하다. 별 것 아닌 문제들을 무시하고, 대신 작은 일들에 한껏 즐거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 따위는 젖혀두고 당장 눈 앞에 벌어진 현실에 집중하는 아이들의 천진난만함은 어른들은 갖지 못한 강력한 무기인 셈이다. 이런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은 그래서 씁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제멋대로 고집을 부려가며 원하는 걸 얻어낼 수도, 낯선 누군가와 친구가 될 수도 있었던 아이는 어느 시점부터 세상이 그렇게 녹록지 않다는 걸 알게 된다. 영화 ‘홈’ 속 어른의 문턱에 접어든 한 소년도 마찬가지다.

‘홈’은 이제 막 중학생이 된 열네 살 소년 준호(이효제)의 이야기다. 남동생 성호(임태풍), 엄마와 함께 살던 준호는 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진 엄마를 대신해 졸지에 한 가정의 가장이 된다. 오래 전 엄마와 헤어진 친아빠는 제 앞가림하기 바쁘고, 기댈 곳이라곤 역시 엄마를 떠난 ‘아저씨’ 원재(허준석) 뿐이다. 친아들 성호를 자신의 집에 데려간 원재는 어쩔 수 없이 홀로 남겨진 준호까지 떠맡게 된다. 준호는 성호, 그리고 원재의 또 다른 딸 지영(김하나)과 함께 언제 끝날지 모를 동거 생활을 시작한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준호를 중심으로 엇갈리고 꼬인 혈연 관계는 복잡하기 이를 데 없다. 준호는 아빠를 잃었고, 엄마는 아저씨와의 사이에서 성호를 낳았으며, 아저씨와 또 다른 여자 사이에는 딸 지영이 있다. 각각 엄마와 아빠라는 공통분모 속에서 남매 사이인 준호-성호-지영의 관계는 서로 피가 절반씩 섞였거나 또는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가족 구도를 형성한다. 서사가 전개될수록 드러나는 이들의 관계는 그 한가운데에 선 준호를 이도저도 아닌 주변인으로 위치시키며 분열되고 무너진 불완전한 가정의 그늘을 효과적으로 그려낸다.

이런 상황에서 부당한 ‘가정’과 사회의 폭력을 온몸으로 받아내는 준호의 모습은 영화 속 가장 쓰라린 지점이다. 이제 막 아이 티를 벗기 시작한 준호는 동생 성호처럼 어리광을 부리며 원재에게 매달리지도 않고, 그렇다고 의젓하게 홀로서기에 나설 만큼 성숙하지도 못하다. 그런 준호는 행여 버림받을까 아저씨의 눈치를 봐가며 전전긍긍하다가도 두 동생을 돌보며 조금씩 웃음을 되찾는다. 하지만 이 와중에 준호의 엄마와 함께 혼수 상태에 빠져 있는 원재 아내의 존재는 언제라도 무너져버릴 수 있는 가정의 울타리를 아프게 조명한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영화 '홈' 스틸컷 (사진=리틀빅픽처스)

결국 ‘홈’은 관객에게 ‘가정은 무엇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질문을 던지는 데 성공한다. 아빠가 같거나 또는 엄마가 같은 형제, 그리고 엄마 아빠가 모두 다른 형제까지. 영화는 혈연 관계에 따라 가족의 범주를 규정하고 이들이 ‘함께 사는’ 문제를 결정하는 어른들과 사회의 역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는 가정 파탄에 처한 아이의 행복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미심장한 메시지이기도 하다. 어떤 아이는 새 아빠와 살고, 또 어떤 아이는 보호 시설에서 살아갈 수도 있다. 하지만 ‘홈’은 “저도 같이 살게 해 주세요”라며 울먹이는 준호의 얼굴을 통해 이렇게 외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우리가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하는 건 ‘아이는 누구와 어디서 어떻게 살기를 원하는가’의 문제라고. 5월 30일 개봉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