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페이플러스가 잦은 오류로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서울페이플러스)
편리함을 증대시키려던 서울시의 노력이 아쉬운 결과를 가져왔다. 서울사랑상품권(서울페이+) 사업자 교체 이후 여러 장애가 발생하면서 책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홍보와 시스템 활성화가 부족했다는 사실을 사과하며 진화에 나섰다.
4일 서울시는 설명자료를 통해 ‘서울페이’ 관련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그간 미흡했던 ‘서울페이+’의 시스템 연동 문제에 대해 보완을 약속했다. 현재는 모든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앞서 서울시는 소비자가 저렴하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고 소상공인·자영업자는 가맹점 수수료를 내지 않는 서울사랑상품권 사업을 시작했다. 서울사랑상품권은 입소문을 타고 50만명 이상의 시민이 사용하며 인기를 끌었다.
그러던 중 지난해 11월 입찰을 통해 페이 사업자를 기존 한국결제진흥원에서 신한 컨소시엄(신한·카카오·티머니)으로 교체됐다. 한국결제진흥원이 운용하던 23개 결제 앱에서는 지난달 24일부터 더이상 서울사랑상품권을 구매할 수 없다. 대신 신한 컨소시엄이 서비스하는 7개 앱으로만 서울사랑상품권을 구입하고 결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들은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해 사용에 불편을 겪었다. 결제 데이터도 정확히 이관되지 않아 가맹점주도 결제를 할 수 없었다. ‘서울페이+’ 관련 게시판에는 수천건의 민원이 쏟아졌다.
서울시는 홍보가 부족했고 결제 앱 설치가 미흡했다는 점도 인정하며 사과했다. 다만 일각에서 논란이 됐던 특정 업체 특혜 논란에 대해선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사업자 교체가 시민들에게 편리함을 증대시켰다는 입장이다.
활용성이 높은 앱을 늘려 실제 결제 비중도 높였고 발행을 신한카드에 넘기면서 발행 비용도 줄었다. 서울시는 신한 컨소시엄과의 상품권 발행 수수료를 1.1%에서 0.6%로 낮추며 연 80억원의 절감 효과를 얻게 됐다.
서울시의 해명과는 별개로 책임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 이관한 정보가 불충분한 것이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서울시는 한결원에 가맹점 자료 일체를 제공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이에 한결원은 현 사업자와 서울시가 무단으로 인프라를 갖다 쓴 ‘무임승차’ 행위를 했다고 비판했다. 종전 인프라를 활용하자고 제안했지만 서울시 등이 거부했다는 것이다.
급한 불은 껐고 오류는 해결됐지만 책임 공방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프라 공동 활용방안이 묘안으로 떠올랐다. 한 발짝씩 양보하라는 것이다.
단돈 몇만원을 아끼기 위해 시민들은 앱을 깔고 돈을 충전한 다음 결제를 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시간은 금’이다. 금을 투자한 만큼 양질의 혜택을 받아야 한다. 더이상의 책임 공방보단 제대로 된 서비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