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재건축 단지 모습. 연합뉴스
금리 하락에 대한 기대감과 정책효과로 인해 이달 수도권 분양시장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계절적 요인 등으로 대형 분양 물량도 봇물 터지듯 쏟아지는 모양새다. 신생아 특례 대출 시행뿐 아니라 신생아 특공 신설 등 정책효과가 매서운 추위를 이겨낸 수도권 분양시장에 봄기운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는 더욱 가시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4월 수도권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보다 6.1포인트(p) 상승한 89.9로 집계됐다.
이 지수는 공급자 입장에서 분양을 앞뒀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회원사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 아래면 그와 반대 상황을 나타낸다.
특히 서울의 분양전망지수가 11.8포인트(p) 급등하며 100.0선을 회복했다. 수도권에서 인천과 경기도 각각 0.7p, 5.8p 상승하며 각각 77.4와 92.3으로 조사됐다.
4월 분양가격전망지수는 기본형 건축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2.8p 상승한 107.1을 기록했으며, 청약홈 개편으로 미뤄졌던 분양이 재개되면서 분양물량전망지수도 26.9p 급등하며 100.0선을 회복했다.
무엇보다 4월 계절적 요인으로 분양 물량이 늘어난 데다 청약홈 개편 및 총선에 맞춰 건설사들이 그동안 연기됐던 분양 물량을 밀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고금리·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로 건설사들이 움츠러 들었지만, 언제까지 분양을 미룰 순 없기 때문이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4월 전국에서 총 35곳, 3만6288가구(임대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되면, 이중 2만9221가구를 일반 분양할 예정이다. 이는 직전 3월의 1만3439가구 대비 2배가 넘는 수치다.
특히 수도권 일반분양 물량이 1만1138가구로 전체 비중의 38.12%를 차지했으며 지방은 1만8083가구로 61.88%로 집계됐다.
특히, 시·도별로는 경기 6842가구(9곳·23.41%), 광주 3964가구(2곳·13.57%), 인천 3753가구(3곳·12.84%)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3월 청약홈 개편으로 잠시 중단된 분양시장이 봄 성수기를 맞아 활기를 찾는 모습"이라며, "대국민의 관심이 4·10 총선에 집중돼 있는 만큼 총선이 마무리된 4월 중반을 기점으로 건설사들이 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같은 4월 분양시장의 약진은 그간 미뤄왔던 물량을 쏟아낼 영향이 크다. 이를 반증하듯 직방 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분양 예정 단지는 총 1만6281가구(일반분양 1만1805가구)였지만 실제 분양이 이뤄어진 단지는 총 1487가구(일반분양 958가구)로 공급실적률은 대략 9%(일반분양 8%)에 그쳤다.
직방 관계자는 "예고된 3월 청약홈 개편 소식에 따라 계획 물량 자체도 적었지만 3월 마지막주 계획한 물량도 일정이 미뤄지며 3월 공급실적률이 저조한 성적을 나타냈다"면서 "4월 총선을 앞두고 홍보효과 등을 고려해 분양이 다시 미뤄질 가능성이 있어 실제 공급량은 미지수"라고 분석했다.
참고로 직방 조사에 따르면 4월 분양예정 물량은 45개 단지, 총 4만825가구로 전년 동월(1만 5192가구) 대비 169%나 급증했다.
이같은 '4월 효과'는 지난달 25일부터 청약제도가 대폭 바뀐 가운데 신생아 가구 우선 공급제도 등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배우자 통약통장 가입 기간 합산, 부부 중복청약 가능, 다자녀 특공 기준 완화 등의 개정된 청약 규칙 시행으로 청년층의 당첨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다만, 수요자들의 기회가 확대됐음에도 불구하고 선호지역이나 단지 등의 쏠림현상은 여전할 것으로 예상돼 양극화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를 반증하듯 주산연 4월 전국 아파트분양지수와 비수도권지수는 전월 대비 각각 5.9p, 8.5p 내린 75.5와 72.4로 나타났다. 지방의 경우 울산(87.5→70.6), 대전(85.7→70.0), 세종(93.3→81.3), 대구(80.0→70.8), 부산(70.8→64.0), 광주(77.3→71.4) 등 모든 광역시에서 지수가 하락했다.
주산연은 "금리하락 전망과 서울 집값 상승 전환에 따른 기대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주택가격 전망과 미분양 추이에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우선 이달 분양이 몰린 것은 3월달 부동산원 청약홈이 개편되면서 청약을 준비했던 단지들의 분양이 한 달 동안 미뤄지면서 4월 분양 물량이 많이 나와있다"라면서 "3월달에 거의 분양을 못했는데 청약홈 개편 및 총선 시기가 겹치면서 4월로 분양이 넘어갔고, 총선이 지나야 구체적인 부동산 관련 정책이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분양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서울이나 수도권 입지가 좋은 곳은 여전히 분양이 괜찮을 것 같다"라며 "다만, 다른 지방의 경우 청약에 대한 메리트가 줄어서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