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화 '시동' 스틸 ‘시동’이 원작과 완벽한 캐릭터 싱크로율을 보여줘 기대를 높였다. 원작이 품은 핵심 정서도 적절하게 담아내며 성공적인 영화화 사례를 기대케 했다. 그러나 원작의 긴 스토리를 적절하게 배치, 분산시키며 영화적 호흡으로 옮기는 데는 실패해 아쉬움을 남겼다. 18일 개봉한 ‘시동’은 가출 청소년들의 성장기를 다룬 조금산 작가의 웹툰을 영화화했다. 정체불명 단발머리 주방장 거석이형(마동석 분)을 만난 어설픈 반항아 택일(박정민 분)과 무작정 사회로 뛰어든 의욕 충만 반항아 상필(정해인 분)이 진짜 세상을 맛보는 유쾌한 이야기를 담았다. ‘시동’은 웹툰이 스크린에 구현될 때 기대하는 캐스팅 부분에서 완벽한 모습을 보여줬다. 주인공 택일 역의 박정민은 물론, 친구 상필 역의 정해인과 택일 엄마를 연기한 염정아 등 대부분의 배우들이 원작 릭터와 높은 싱크로율을 보여줬다. 특히 독특한 개성을 가진 거석이형은 마동석이 아니었으면 누가 소화할 수 있었을까 싶을 만큼 적절했다. 비행 청소년들의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일부 폭력적인 장면 등 원작의 어두운 분위기에 대한 우려도 영리하게 극복했다. 택일, 경주의 화려한 염색 머리, 거친 외모와 대비되는 거석이형의 단발머리 등 캐릭터 특징에 귀여운 매력들을 부각해 유쾌함을 더했다. 사진=영화 '시동' 스틸 만화적 특성을 살린 재치 있는 장면들을 통해 발랄한 매력도 높였다. 거리에서 방황하는 소경주에게 의외의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뒤돌아서며 독특한 포즈를 취하는 택일 등 웹툰 속 장면을 직접 녹여내는 재치 있는 장면들로 보는 재미를 준 것이다. 택일이 거석이형과 배구 선수 출신 엄마에게 따귀를 맞는 장면들에서는 택일이 과장된 리액션을 선보이며 심각성을 줄이기도 했다. 오락성을 강조하다 지나칠 수 있었던 웹툰의 핵심 정서를 놓치지 않는 미덕도 빛났다. 웹툰 ‘시동’은 매력적인 캐릭터도 돋보였지만, 어두운 현실을 각양각색 캐릭터에 반영하며 만든 공감이 장점인 작품이다. 영화는 캐릭터들의 독특한 행동 속 결핍까지 놓치지 않았다. 그러나 긴 이야기를 2시간 내에 집약적으로 녹여내는 데는 실패했다. 영화를 결말까지 보면, 45회에 걸쳐 서술된 서사를 2시간 안에 녹여낸 것이 무리였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미스터리한 매력의 거석이형의 비밀부터 장풍 반점의 공 사장이 가진 상처, 택일과 부모님의 화해, 상필의 성장 등 여러 이야기들이 한꺼번에 터지다 보니 후반부 수습이 불가능했다. 웹툰의 성공적인 영화화를 위해서는 싱크로율도 중요하지만, 긴 서사를 임팩트 있게 압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영화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변주가 핵심인 것이다. 그러나 이 핵심 구현에 실패한 ‘시동’은 원작 고유의 장점만 부각시키고, 매체의 특성은 고려하지 못한 셈이다. 수많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것을 놓친 ‘시동’의 마무리가 아쉽다.

[시네마 초점] ‘시동’ 웹툰과 완벽한 캐릭터 싱크로율…서사 압축에는 실패

평점 9.9의 원작 웹툰, 스크린 위에서는 어땠을까

장수정 기자 승인 2019.12.18 09:51 | 최종 수정 2019.12.25 10:28 의견 0
사진=영화 '시동' 스틸


‘시동’이 원작과 완벽한 캐릭터 싱크로율을 보여줘 기대를 높였다. 원작이 품은 핵심 정서도 적절하게 담아내며 성공적인 영화화 사례를 기대케 했다. 그러나 원작의 긴 스토리를 적절하게 배치, 분산시키며 영화적 호흡으로 옮기는 데는 실패해 아쉬움을 남겼다.

18일 개봉한 ‘시동’은 가출 청소년들의 성장기를 다룬 조금산 작가의 웹툰을 영화화했다. 정체불명 단발머리 주방장 거석이형(마동석 분)을 만난 어설픈 반항아 택일(박정민 분)과 무작정 사회로 뛰어든 의욕 충만 반항아 상필(정해인 분)이 진짜 세상을 맛보는 유쾌한 이야기를 담았다.

‘시동’은 웹툰이 스크린에 구현될 때 기대하는 캐스팅 부분에서 완벽한 모습을 보여줬다. 주인공 택일 역의 박정민은 물론, 친구 상필 역의 정해인과 택일 엄마를 연기한 염정아 등 대부분의 배우들이 원작 릭터와 높은 싱크로율을 보여줬다. 특히 독특한 개성을 가진 거석이형은 마동석이 아니었으면 누가 소화할 수 있었을까 싶을 만큼 적절했다.

비행 청소년들의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일부 폭력적인 장면 등 원작의 어두운 분위기에 대한 우려도 영리하게 극복했다. 택일, 경주의 화려한 염색 머리, 거친 외모와 대비되는 거석이형의 단발머리 등 캐릭터 특징에 귀여운 매력들을 부각해 유쾌함을 더했다.

사진=영화 '시동' 스틸


만화적 특성을 살린 재치 있는 장면들을 통해 발랄한 매력도 높였다. 거리에서 방황하는 소경주에게 의외의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뒤돌아서며 독특한 포즈를 취하는 택일 등 웹툰 속 장면을 직접 녹여내는 재치 있는 장면들로 보는 재미를 준 것이다.

택일이 거석이형과 배구 선수 출신 엄마에게 따귀를 맞는 장면들에서는 택일이 과장된 리액션을 선보이며 심각성을 줄이기도 했다.

오락성을 강조하다 지나칠 수 있었던 웹툰의 핵심 정서를 놓치지 않는 미덕도 빛났다. 웹툰 ‘시동’은 매력적인 캐릭터도 돋보였지만, 어두운 현실을 각양각색 캐릭터에 반영하며 만든 공감이 장점인 작품이다. 영화는 캐릭터들의 독특한 행동 속 결핍까지 놓치지 않았다.

그러나 긴 이야기를 2시간 내에 집약적으로 녹여내는 데는 실패했다. 영화를 결말까지 보면, 45회에 걸쳐 서술된 서사를 2시간 안에 녹여낸 것이 무리였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미스터리한 매력의 거석이형의 비밀부터 장풍 반점의 공 사장이 가진 상처, 택일과 부모님의 화해, 상필의 성장 등 여러 이야기들이 한꺼번에 터지다 보니 후반부 수습이 불가능했다.

웹툰의 성공적인 영화화를 위해서는 싱크로율도 중요하지만, 긴 서사를 임팩트 있게 압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영화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변주가 핵심인 것이다. 그러나 이 핵심 구현에 실패한 ‘시동’은 원작 고유의 장점만 부각시키고, 매체의 특성은 고려하지 못한 셈이다. 수많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것을 놓친 ‘시동’의 마무리가 아쉽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