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했다./사진=연합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됐다. 지난해 대통령의 계엄 선포 당시 가상자산거래소들이 직격탄을 맞으며 '쇼크' 상태였다면, 대통령 파면 발표에는 큰 영향 없이 순탄한 흐름을 보였다.
4일 헌법재판소는 전원 일치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했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지난 '계엄' 정국 당시 서버가 마비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면, 이번 파면 발표에서는 매매 등 흐름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앞두고 금융당국은 가상자산거래소들에 '비상체제 운영'을 당부했다. 지난 계엄령 선포 당시 업비트와 빗썸 등 가상자산거래소에서는 일시적으로 거래량이 몰리면서 서버가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만 가상자산이 대폭락하면서 피해를 야기시켰다.
반면 이날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에도 가상자산 거래 흐름은 순탄한 모습을 보였다. 외국 가상자산거래소와 한국 가상자산거래소 간의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도 1.75%로 종전 수준을 유지했다.
이번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대한민국은 앞으로 차기 대통령 선거 모드로 돌입하게 된다.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대선 정국과 이어질 금융당국의 분위기 변화에 촉각을 모으고 있다. 특히 대선 레이스에서 각 당 주자들이 내놓을 가상자산 정책에 '긍정적' 의견이 나온다.
앞서 여야는 앞다퉈 가상자산 친화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 현재 금융당국 또한 가상자산 법인 계좌 허용 및 비트코인 ETF 도입, 가상자산 2단계 입법에 착수한 상태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가상자산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이 '부정적'이었던 탓에 당국의 입법 논의에도 가상자산 업계는 냉각 상태에 가까웠다.
업계에서는 향후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가상자산을 담당하는 금융당국의 분위기도 크게 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선 정국에서 나올 다양한 가상자산 정책 뿐 아니라, 향후 금융당국의 기조 변화에도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다"며 "그동안 가상자산거래소 등을 향한 금융당국의 시각 자체가 부정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