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분기 영업수익(매출액) 3조 7481억원, 서비스수익 2조9389억원 영업이익 2554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8%, 서비스수익(단말수익 제외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1.6%, 15.6%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영업수익과 영업이익 증가 배경으로 유·무선 가입자의 증가, 인공지능(AI)이 적용된 기업용(B2B) 인프라사업 성장, 수익화 가능성이 낮은 일부 사업 정리를 통한 비용 효율화를 꼽았다.

먼저 마케팅 비용은 올 초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 참여 등으로 인한 광고선전비가 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증가한 5558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설비투자(CAPEX)는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한 3331억원을 집행했다.

1분기 무선 사업은 가입자 순증과 해지율 개선 등 질적 성장이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조6121억원을 거뒀다. 접속수익을 제외한 서비스수익(무선 서비스 관련 기본료, 통화료, 데이터 등 합산 수익)은 2.4% 성장한 1조5428억원을 기록했다.

MNO 가입회선은 2051만3000개로 1년 동안 6.7% 증가했다. 같은 기간 5G 핸드셋 가입자는 14% 늘어난 819만6000회선으로, MNO 핸드셋 가입자 대비 74.8%로 비중이 늘었다. 해지율은 0.09% 포인트 개선하며 1.09%를 기록했다.

초고속 인터넷과 IPTV가 포함된 스마트홈 사업도 성장을 이어갔다. 1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 증가한 6306억원을 기록했다.

초고속 인터넷 사업 수익은 고가치 가입회선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9% 상승한 2965억원으로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회선은 539만6000개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3.4% 증가했다.

지난 1월 안심 기능을 강화하고 보상 기능을 추가한 '프리미엄 안심 보상 요금제'를 출시하는 등 차별화된 경쟁력을 토대로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매출이 상승했다는 설명이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솔루션, IDC,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인프라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 증가한 4097억원을 기록했다. IDC와 기업회선의 꾸준한 성장 덕분이다.

중계메시징, 웹하드, NW솔루션, 스마트모빌리티, AICC 등 분야를 포함한 솔루션 사업의 수익은 같은 기간 0.4% 성장한 118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시작된 AI 중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AX)이 꾸준한 성과 및 매출 성장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 전무)는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환경 가운데서도 1분기 영업수익과 영업이익은 모두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 AI 적용 영역을 확장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기업가치와 주주이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