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헥토헬스케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헥토헬스케어가 고려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수행한 여성 유래 유산균 ‘BELR47’ 연구 결과가 SCI급 저널 '프로바이오틱스 앤 안티마이크로비얼 프로틴즈, 스프링거 네이처 (Probiotics and Antimicrobial Proteins, Springer Nature, IF 4.6)에 게재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축적해온 R&D 역량과 프로바이오틱스 연구의 전문성이 결합해 만들어낸 결과다. 연구는 헥토헬스케어 R&D센터가 건강한 성인 여성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서 확보해 자체 개발한 유산균 BELR47 '락티카세이바실러스 람노서스(Lacticaseibacillus rhamnosus BELR47)'의 효능을 세균성 질염 동물모델에서 평가했다.

그 결과 질염과 장내 염증 관련 지표가 동시에 개선되는 양상을 확인했다. 이는 ‘장–질 축(Vagina–Gut Axis)’ 연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는 회사측 설명이다. 연구에 따르면 BELR47은 세균성 질염 주요 원인균인 가드네렐라, 패니헤세아, 칸디다에 대해 최대 99.9% 수준의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생성을 줄여 항염 반응을 돕는 경향을 보였다. ‘BELR47’을 구강 투여한 실험군에서도 눈에 띄는 개선이 확인 됐다. 질 내 염증과 세포 박리 현상이 완화됐고 원인균 증식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더불어 혈청 염증 인자는 감염군 대비 정상 범위에 가까운 수준으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항염증 인자(IL-10)의 발현도 감소된 상태에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장내에서는 밀착 연접 '타이트 정션 (Tight junction)' 단백질 발현 감소가 부분적으로 회복되며 장 장벽과 관련된 변화가 완화된 것으로 해석됐다. 또한 장내 미생물 다양성과 일부 유익균의 상대적 비율이 감염 전 수준에 가까운 회복세를 보였고 항염 신호와 연관된 단쇄지방산 '부티릭 애시드 (Butyric acid 등)' 농도 역시 감염으로 감소된 수치에서 개선되는 방향을 나타냈다.

헥토헬스케어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헥토헬스케어가 독자 개발한 균주의 과학적 근거를 국제 학술지에서 확인한 의미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학계와의 협력을 확대해 근거 기반의 여성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연구를 지속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연구개〮발 경쟁력을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헥토헬스케어는 본 연구에 활용된 건강한 한국 여성에서 유래한 ‘BELR47’ 및 질 유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BELG74’을 핵심 균주로 사용한 제품인 ‘이너바이옴’을 지난 7월 출시해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2025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심포지엄 및 정기총회’에서도 높은 관심을 얻으며 연구 기반 제품화 역량을 입증했다.

헥토헬스케어는 글로벌 프로바이오틱스 ‘드시모네(DeSimone)’ 포뮬러의 국내 독점 공급사로서 SCI급을 포함한 452편의 국제 학술논문과 축적된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차별화된 마이크로바이옴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