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 박처장 역 김윤석, 최검사 역 하정우(사진=CJ엔터테인먼트)   [뷰어스=한유정 기자]모두가 주인공이었던 1987년을 이야기한 ‘1987’은 자연스럽게 현실인 2017년을 떠올리게 한다. 그래서 더 뜨거운 울림을 준다.  ‘1987’은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다룬 실화 소재 영화로 한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를 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뤘다.  한국 근현대사 속 가장 드라마틱한 시대다. 역사적 사실을 영화화 시킬 때 그 중심을 잡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있는 그대로, 사실만을 전달했을 땐 다큐멘터리가 되어 버리고 극적인 연출이 더해지면 사실을 왜곡했다는 평을 듣는다. 그런 점에서 ‘1987’은 아픈 역사에 사실적으로 접근하면서도 드라마틱함을 살려냈다.  그 강점은 카메라 워킹으로 완성됐다. 다큐멘터리에 가깝게 보이기 위해 핸드헬드 촬영을 하고 망원 줌, 접사렌즈를 통해 배우들의 표정을 생생하게 담아내 캐릭터에 대한 몰입도를 높였다.  '1987' 포스터(사진=CJ엔터테인먼트)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 때였기 때문에 ‘1987’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상당히 많은데 마치 계주를 하는 것처럼 인물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주요 캐릭터를 연기한 김윤석, 하정우, 김태리 뿐만 아니라 설경구, 김의성, 문성근, 우현 등 많은 배우가 참여했다. 박종철 열사의 삼촌으로 등장하는 조우진의 분량은 작지만 그의 퉁퉁 부은 얼굴이 잔상에 남는 것처럼 출연진들은 분량에 상관없니 제 몫을 톡톡히 해냈다.  특히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은폐를 지시하는 박처장 역 김윤석의 연기는 압권이다. 관객들의 분노를 끌어 오르게 만드는 야만적인 인물이지만 그도 결국은 권력의 도구였다는 것이 입체적으로 드러난다.  사실극에 가까운 ‘1987’에서 김태리와 강동원의 첫 만남같이 이질적 장면이 간간히 등장하지만 극을 해칠 정도는 아니다. 마지막 엔딩은 2017년 촛불이 뒤덮였던 광장을 떠올리게 한다. 역사의 흐름을 바꾼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현재를 되돌아보게 하고 희망을 전한다. 시사회에서 펑펑 눈물을 쏟았던 장준환 감독의 진심이 영화 속 고스란히 담겼다. 오는 27일 개봉.

‘1987’를 통해 2017년을 보다

한유정 기자 승인 2017.12.20 10:49 | 최종 수정 2135.12.09 00:00 의견 0
'1987' 박처장 역 김윤석, 최검사 역 하정우(사진=CJ엔터테인먼트)
'1987' 박처장 역 김윤석, 최검사 역 하정우(사진=CJ엔터테인먼트)

 

[뷰어스=한유정 기자]모두가 주인공이었던 1987년을 이야기한 ‘1987’은 자연스럽게 현실인 2017년을 떠올리게 한다. 그래서 더 뜨거운 울림을 준다. 

‘1987’은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다룬 실화 소재 영화로 한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를 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뤘다. 

한국 근현대사 속 가장 드라마틱한 시대다. 역사적 사실을 영화화 시킬 때 그 중심을 잡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있는 그대로, 사실만을 전달했을 땐 다큐멘터리가 되어 버리고 극적인 연출이 더해지면 사실을 왜곡했다는 평을 듣는다. 그런 점에서 ‘1987’은 아픈 역사에 사실적으로 접근하면서도 드라마틱함을 살려냈다. 

그 강점은 카메라 워킹으로 완성됐다. 다큐멘터리에 가깝게 보이기 위해 핸드헬드 촬영을 하고 망원 줌, 접사렌즈를 통해 배우들의 표정을 생생하게 담아내 캐릭터에 대한 몰입도를 높였다. 

'1987' 포스터(사진=CJ엔터테인먼트)
'1987' 포스터(사진=CJ엔터테인먼트)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그 때였기 때문에 ‘1987’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상당히 많은데 마치 계주를 하는 것처럼 인물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주요 캐릭터를 연기한 김윤석, 하정우, 김태리 뿐만 아니라 설경구, 김의성, 문성근, 우현 등 많은 배우가 참여했다. 박종철 열사의 삼촌으로 등장하는 조우진의 분량은 작지만 그의 퉁퉁 부은 얼굴이 잔상에 남는 것처럼 출연진들은 분량에 상관없니 제 몫을 톡톡히 해냈다. 

특히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은폐를 지시하는 박처장 역 김윤석의 연기는 압권이다. 관객들의 분노를 끌어 오르게 만드는 야만적인 인물이지만 그도 결국은 권력의 도구였다는 것이 입체적으로 드러난다. 

사실극에 가까운 ‘1987’에서 김태리와 강동원의 첫 만남같이 이질적 장면이 간간히 등장하지만 극을 해칠 정도는 아니다. 마지막 엔딩은 2017년 촛불이 뒤덮였던 광장을 떠올리게 한다. 역사의 흐름을 바꾼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현재를 되돌아보게 하고 희망을 전한다. 시사회에서 펑펑 눈물을 쏟았던 장준환 감독의 진심이 영화 속 고스란히 담겼다. 오는 27일 개봉.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