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어스=이소희 기자] 존재하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를 발하는 것들이 있다. 여기에 갖은 바람을 이겨내고 오랫동안 한 자리를 지키고 있다면 폭발적인 영향력을 지니게 된다. 가령 KBS1 ‘올댓뮤직’과 같은 경우다.
‘올댓뮤직’은 2010년 12월 춘천 지역방송으로 시작해 2012년 9월부터 KBS1을 통해 영역을 확장한 음악프로그램이다. 방송에서 자주 볼 수 없던 언더신의 가수들이 주로 출연해 라이브 무대를 꾸민다.
대중에게 생소한 가수가 나온다는 건 그만큼 높은 시청률을 내기도 어렵다는 말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숫자로 생사가 좌지우지되는 방송계에서 ‘올댓뮤직’이 지난달 31일 300회를 맞은 건 거의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그 배경에는 척박한 환경을 헤치고 열정 하나로 9년째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는 황국찬 PD가 있었다. 그 기간을 거친 MC 이한철, 이승열부터 현재 3대 MC인 육중완(장미여관)도 거들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음악의 가치를 귀한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더 많은 이들이 그 빛을 알아챌 수 있도록 진심을 다한다는 것이다. 그런 이들이 똘똘 뭉친 ‘올댓뮤직’은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자리 잡았다.
올댓뮤직(사진=이동환 기자)
■ ‘올댓뮤직’이 바라보는 인디
‘올댓뮤직’ 300회 특집에서는 ‘인디’라는 표현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이한철은 “우리는 모든 곡을 직접 만든다. 음악의 출발점과 끝점이 있다면, 그것을 직접 몸으로 해내고 있는 뮤지션들이지 않냐”라면서 “처음 모티브가 떠올랐을 때 생각했던 것들이 최대한 마지막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갈 수 있는, 책임감 있는 음악을 하는 이들이 인디 뮤지션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소위 ‘인디음악’이라 불리는 분야를 다루는 ‘올댓뮤직’이기에 한 번쯤은 짚고 넘어가야 할 지점이기도 했다.
“300회를 준비하면서 ‘인디가 뭘까, 지금의 인디문화는 어떨까’ 회의를 정말 많이 했어요. 개념 정립부터 해보자 싶었는데, 내가 생각하는 인디를 말하니 이제 막 들어온 신입 PD와 생각이 다르더라고요. 예를 들어 ‘홍대신이 죽어 가고 있다’고 흔히들 말하는데, 홍대 신을 처음 본 사람들이 보기에는 완전히 새로운 세상인 거예요. 시각차이가 커요. 그래서 결론을 못 내리고 MC들에게 이야기를 시켜보자 싶었어요(황국찬 PD)”
이 방송에서 육중완은 이한철의 말을 듣고 감탄했다. 이승열 역시 공감하며 “자기 작품을 100% 통제할 수 있는 뮤지션”을 인디로 정의했다. 이를 언급하자 육중완은 후배들이 소속사에 들어가기 전 고민을 할 때면 ‘네가 뭘 하고 싶은지, 뭘 할 지를 먼저 생각하라’고 조언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육중완은 “‘올댓뮤직’에 출연하는 팀들을 겪으며 스타가 될 만한 친구들을 눈여겨보고 있다. 절반은 자기 것이 없는 똑같은 음악을 하고, 절반은 자기 것을 찾아온다. 후자 같은 팀들이 ‘올댓뮤직’을 통해 더 발전하고 어떤 영향에도 흔들리지 않는 본인들만의 뜻을 지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황국찬 PD(사진=이동환 기자)
■ 신선한 팀+라이브=아날로그의 힘
대화는 자연스럽게 업계 이야기로 흘러갔다. 프로그램의 흥행과 같은 문제를 떠나, 황 PD든 육중완이든 늘 머릿속에는 언더신을 부흥시킬 생각으로 가득한 모양새였다. 이에 조심스레 섭외에 대한 아쉬음을 드러내봤다. 근 1년간의 ‘올댓뮤직’ 라인업을 보면 완전히 생소한 팀은 거의 없다.
“뮤지션을 셀렉할 때 방법은 두 가지에요. 자료를 보내주면 그 중에서 선별하거나 전국의 클럽 공연장을 돌아다니거나. 드물게는 뮤지션이 직접 오는 경우도 있고요. 그런데 직접 돌아다니는 건 물리적으로 힘들어요.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만 상당한 시간이 할애되거든요. 그렇다고 또 자료 오는 팀 중에서만 고르자니 신선한 느낌은 이미 덜하고요. 그래서 만든 게 바로 인디스땅스에요. 참가 팀들을 보면 자료조차 없는 팀들인데 장을 만들어주니 정말 많이 모이더라고요. 지난해 320팀, 올해 390팀이 참가했어요. 이렇게 언더 뮤지션들이 많다는 걸 새삼 깨달았죠(황국찬 PD)”
이처럼 황국찬 PD는 새로운 팀을 발굴하고 진정한 인디가수를 배출해내기 위해 노력하고 이다. ‘올댓뮤직’에서 라이브를 고집하는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
“처음에 ‘올댓뮤직’은 너무 정적인 게 아니냐고 말했어요. 조명이 너무 어두우니 그거라도 바꾸면 안 되겠냐고. 그런데 PD님은 최대한 라이브의 느낌을 살리고 싶으신 거예요. 무대와 객석의 거리도 가깝고, 정말 클럽 공연장 같은 분위기를 주는 거죠. 생각해보면 뮤지션 입장에서도 이런 환경이 긴장하지 않고 무대를 하는데 더 좋을 것 같아요(육중완)”
“꼭 고집하는 건 라이브에요. 한 번도 MR을 쓴 적이 없고 정말 예외인 소리들을 제외하고는 전부 밴드셋이죠. 앞으로도 포기하지 않을 거예요(황국찬 PD)”
“완벽히 마스터링된 소리가 깨끗하게 들리긴 하죠. 하지만 ‘올댓뮤직’이 추구하는 건 아날로그의 느낌이에요. 아날로그는 투박하게 느껴지더라도 사람들에게는 오랜 추억으로 간직되잖아요. ‘올댓뮤직’도 마찬가지에요. 프로그램이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걱정하지 않는 게, 아날로그 성향을 지닌 프로그램이니까 이를 더 좋아하고 기억해주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날 거라고 믿기 때문이에요(육중완)”
올댓뮤직(사진=이동환 기자)
■ 오래 남는 것에 대한 고민
지금까지 차근차근 ‘올댓뮤직’이 커왔다면, 이제는 ‘오래 남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때다. 더 많은 뮤지션들이 좋은 음악을 알릴 수 있게, 대중이 폭넓은 음악을 접할 수 있게 환경을 유지하는 일만 남았다. ‘올댓뮤직’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건 곧 음악의 다양성이 존중받고 있다는 말이다.
“‘올댓뮤직’이 오래가는 건 중요해요. 뮤지션에게 큰 기여를 하니까요. 인디스땅스도 더 활발해져서 스타를 배출하고, ‘올댓뮤직’을 거친 이들이 메이저 신으로, 전 세계로, 심지어 평양까지 간다면 너무 아름다울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요즘의 댄스 음악의 뿌리는 밴드거든요. 결국 밴드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언더 신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음악 신이 변하는 거죠(육중완)”
“‘올댓뮤직’을 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하나를 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에요. 음악의 생활화를 꿈꾸기 때문이죠. 최근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는 분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어떤 외국인이 한국에 오자마자 기타를 구입해서 여행 기간 동안 치면서 놀다가 귀국할 때 되니 다시 팔고 떠나더래요. 외국을 보면 생활에 음악이 아예 들어와 있거든요. 기타를 치던 하모니카를 불던, 악기를 연주하는 게 어색하게 느껴지는 게 아니라 일상처럼 편하게 와 닿는 거죠. 아직 우리나라는 악기를 다룬다고 말하려면 수준급으로 해야 할 것 같고, 음악을 한다고 하면 내 삶의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요. 꼭 직장인 밴드를 하고 연습실을 빌려야만 음악을 하는 건 아니거든요. 음악이 삶과 분리된 게 아니라 삶의 일부가 됐으면 좋겠어요. 많은 분들이 ‘올댓뮤직’을 보면서 음악을 좀 더 편하게 생각했으면 합니다(황국찬 PD)”
[마주보기] ①‘올댓뮤직’, 정성과 진심으로 달려온 9년
[마주보기] ②‘올댓뮤직’의 가치, 오래 존재해야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