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의 정태영 부사장이 각종 논란에 대해 소통으로 돌파하고 있다 (사진=현대카드)
현대카드가 연체율 상승, 사상 검열 등 다양한 논란에 휩싸였다. 하지만 현대카드를 이끄는 정태영 부회장은 이러한 논란을 소통을 통한 정면돌파로 극복하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카드의 지난 1월 카드 대출 연체율이 1.38%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말 1.03%로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9월부터 1.43%로 급증했다.
다른 카드사들이 대출 원금상환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로 연체율 부담을 덜 던 것과 반대의 모습이었다.
현대카드의 연체율이 증가한 이유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장기연체채권 매각 방식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은 채권 매각이 필요하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할 것을 권고했다. 하지만 현대카드는 직접 회수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 때문에 현대카드는 예년보다 장기연체채권을 더 많이 보유하게 됐고, 연체율이 치솟는 현상이 나타났다. 현대카드는 지난 1월 카드사 내 자체 장기연체채권 관리 부서를 신설하고 관련 인력을 3배 이상 늘리는 등 관리 전략 수정에 돌입했다.
연체율 상승과 더불어 지난 1월부터 지급된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지원금 관련 이슈도 현대카드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삼성카드, KB국민카드 등 주요 카드사들은 지급받은 지원금을 카드 한도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현대카드는 재난지원금 사용 금액도 한도에 포함시키도록 했다.
지원금 사용이 이용 한도에 영향을 받다보니 한도가 소진된 고객들은 지원금을 사용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다. 일부 고객은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불만을 표출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카드사마다 재난지원금을 운영하는 프로세스가 다르고 한도 소진으로 지원금 이용이 어려운 고객은 임시한도를 부여해드리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현대카드는 인사규정과 관련해 ‘사상검열’ 논란에도 휩싸이기도 했다. 지난해 11월 한 언론매체는 당시 현대카드 인사규정을 보도했다.
공개된 규정 8조 채용 조건에는 “사상 불온 또는 불량한 소행의 사실이 있는 자는 직원으로 채용할 수 없다”고 명시돼 있다. 또, 인사규정 20조에는 “대표이사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시 직무를 부여치 않고 대기발령할 수 있다”고 적시 됐다.
이 내용이 공개되자 사상으로 직원을 뽑는 건 문제가 있다는 논란이 불거진 것.
현대카드를 이끄는 정태영 부회장은 이러한 논란을 지속적인 소통으로 대응하고 있다. 정 부회장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현대카드 퇴직자들과도 대화하는 ‘열린 경영자’로 알려져있다.
정 부회장은 음성 기반 소셜미디어(SNS) 클럽하우스 등을 통해 자사 직원은 물론 고객들의 마음까지 사로잡는 소통을 하고 있다.
정 부회장은 현대카드에 다른 기업과는 조금 다른 소통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직접 직원들과 얼굴을 보며 하는 ‘타운홀(town hall) 미팅’이나 PPT 보고서를 없애는 등 직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아이디어를 최대한 많이 수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 부회장의 리더십이 각종 논란에도 현대카드를 지탱하는 원동력이라고 평가한다. 정 부회장은 유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수 당시 업계 하위권이던 현대카드를 상위권으로 키워내기도 했다.
최근 현대카드는 네이버, 스타벅스 등 트랜디한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제공한다. 더불어 문화적인 감성을 앞세워 소비자와 소통한다. 정 부회장의 이러한 리더십은 논란의 진위여부를 떠나 고객들이 현대카드를 찾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