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이미지 더블클릭)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수급에 이어 요소수 물류대란에 완성차 업계의 걱정이 태산이다. 요소수 부족 사태 장기화로 생산된 디젤차를 출고 하지 못하거나 생산 차량을 탁송할 트럭 운행이 중단될 수 있어서다. 이로 인해 경유차 판매 감소까지 이어질 수 있다.

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디젤차 출고 때 차에 주입할 요소수 2개월 치의 재고를 확보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말까지는 디젤차 출고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지만, 요소수를 추가로 확보하지 않으면 내년부터는 출고 자체가 어려워진다.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로 이미 차량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동차 업계는 요소수 부족으로 인해 디젤차 생산 차질까지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

다만 국내 완성차 업체가 생산하는 차량 중 디젤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출고가 지연되더라도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1~9월 국내 완성차 5개사의 디젤차 판매량은 승용차 16만대와 상용차 14만대 총 30만대 수준이다.

더 큰 문제는 공장에서 출고된 차량을 고객에게 인도하기 위한 자동차 탁송 트럭 운행이 요소수 부족으로 중단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자동차는 공장에서 생산된 뒤 탁송 트럭으로 전국 출고센터에 운송된다. 요소수 부족으로 탁송 트럭의 운행이 중단되면 공장에서 소비자에게 자동차를 인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수출 차량을 항구로 운송하지 못할 경우 수출에도 타격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공장에서 직접 차를 인도받지만, 대부분은 출고센터를 통해 인도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공장에 신차가 쌓이는 출고 대란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아니지만 요소수 사태가 장기화되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반도체 부품 확보에 신경이 집중돼 있는데 요소수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오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요소수 사태로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경유차 판매량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