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창남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장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 중인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K-콘텐츠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5년간 국내외 시장 확대와 글로벌 문화강국 도약을 위한 지원책을 본격 추진한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지난 13일 청와대 영빈관 국민보고대회에서 K-콘텐츠 시장 규모를 현행 200조원에서 300조원까지 확대하고, 콘텐츠 수출 50조원 달성, 방한관객 3000만명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날 공개된 핵심 추진 전략에는 영상·음악·게임 등 K콘텐츠 주요 분야에 대한 집중 육성과 K-컬처 연계 산업(푸드, 뷰티, 관광) 동반 성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콘텐츠 산업 육성 방안. (사진=국민보고대회 자료 갈무리)
디지털·미디어생태계 분야에는 국내 유료방송 및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약속했다. 또 이용자 중심의 미디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허위조작정보 대응 등 콘텐츠 건전성을 제고하고, 플랫폼·앱마켓에서의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문화예술 창작 역량·향유 기반 강화에도 나선다. 지원책을 기반으로 국민 문화예술 관람률을 63%(2024년)에서 70%로 늘리고, 국민 생활체육참여율을 지난해 60.7%에서 65%로 늘린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창작 공간·예술인 복지 등 자유로운 창작 환경 조성에 힘쓸 방침이다.
지역별 추진과제도 눈길을 끈다. 먼저 서울을 세계 문화 콘텐츠의 중심으로 설정, 관련 인프라를 상암·도봉 등 지역에 확충한다. 부산에는 'e스포츠 진흥재단', 'e스포츠 박물관'의 설립을 지원한다. 대구에서는 글로벌문화예술 허브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경기 고양, 판교, 부천, 안산, 의정부, 파주 등에는 출판, 웹툰, 게임, 영상, 음악 등 K콘텐츠 핵심 산업기반 강화에 나선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문화예술 산업에 대한 국가 재정 지원을 대폭 늘려 한국을 '문화 강국, 글로벌 소프트파워 빅 5'로 거듭나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약 10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및 세제지원을 추진하는 한편, 5년간 문화체육관광부에 약 51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한다. 문체부는 K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한류 확산 거점을 구축할 방침이다.
또한 정부는 지난달 31일 웹툰 콘텐츠 제작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를 신설, 국내 영상 제작사의 영상콘텐츠 세액공제 기본공제율을 상향했다. 이번 국정운영 계획에도 이 같은 지원방안이 언급되면서, 업계의 기대감도 한층 커지는 분위기다.
한편, 이날 발표된 문화콘텐츠 분야 국정과제는 정부의 최종 검토와 국무회의를 거쳐 추후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