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모델이 에이닷의 검색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에 글로벌 AI 거대언어모델(LLM)을 도입하고 문자 보안 기능을 새롭게 추가하는 업그레이드를 실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고객들이 에이닷에서 글로벌 최신 AI LLM을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한편, 스팸·피싱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에이닷의 '검색' 서비스에 글로벌 주요 거대언어모델(LLM)의 최신 AI 모델이 탑재된다. 추가 AI 모델은 SKT 자체 개발 LLM 'A.X'의 최신 버전인 'A.X 4.0'과 오픈AI의 'GPT-5' 시리즈(GPT-5, GPT-5 mini, GPT-5 nano 모델)다.

'A.X 4.0'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 이해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지난 7월 평가 결과에 따르면 'A.X 4.0'은 한국어 능력 평가 지표인 KMMLU에서 78.3점을 기록해 'GPT-4o'(72.5점)를 능가했으며,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벤치마크인 CLIcK에서도 83.5점을 획득해 'GPT-4o'(80.2점)를 앞섰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GPT-5' 시리즈 탑재를 통해 기존 모델 대비 복잡한 과제 처리와 추론 능력이 크게 강화됐으며, 환각 발생 가능성도 낮아졌다고 전했다.

AI 전화 서비스인 '에이닷 전화'에도 문자 보안 기능 'AI 메시지' 기능이 더해진다.

'AI메시지'는 스팸, 피싱 등의 위협으로부터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됐으며, AI 기술을 활용해 스팸·피싱이 의심되는 문자에 사칭·사기·링크주의 라벨을 부착, 고객에게 위험을 경고한다.

스팸·피싱 의심 여부는 AI 모델이 에이닷 전화에 축적한 스팸·피싱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번호 ▲문자 내용 ▲포함된 링크(URL)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 분석해 판별한다.

'AI 메시지'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이하 AOS)에서는 에이닷 전화 앱, iOS 운영 체제에서는 에이닷 앱 내 '전화' 메뉴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메시지 앱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김용훈 SKT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에 최신 AI 모델을 적용하고 문자 보안 기능을 더해 고객들이 AI 기술을 기반으로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며 "앞으로도 에이닷이 고객의 일상을 지키는 든든한 AI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지속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