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고교 학생들의 개학이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31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개학 일정과 관련해 “혼란을 줄이기 위해 준비 상황과 아이들의 수용도를 고려해 내달 9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학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연간 수업 일수와 입시 일정을 고려할 때 아이들의 학습권을 포기하고 무작정 개학을 연기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대안으로 온라인 형태의 개학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모든 아이들에게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보장돼야 한다”면서 “시험과 입시 일정도 그에 맞춰 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17일 전국 학교 신학기 개학일을 4월 6일로 연기한다고 밝힌 바 있다. 

31일 오전 정세균 국무총리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자료=YTN 화면 캡쳐)

정 총리는 “지난주부터 지역사회와 교육계·학부모들의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해 들었다”면서 “아직 아이들을 등교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고 방역 전문가들의 평가 또한 다르지 않다”고 언급했다.

이어 “매일 적지 않은 수의 신규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아이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며 “학교를 매개로 가정과 지역사회로 감염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그동안 감염 위험을 대폭 낮추기 위해 방역 역량을 총동원해 노력했지만 아이들이 안심하고 등교할 수 있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다”며 “이 점에 대해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더불어 “우리 아이들의 학업과 입시뿐만 아니라 안전에 관련된 일이라 국민께서 관심이 크신 줄 안다”며 “오늘 회의에서 교육부가 마련한 방안을 기초로 논의해 결론을 내리고 상세히 설명드리겠다”고 말했다.

또한 “등교 개학과 연계해 시행 중인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도를 조절하는 시기와 방법도 신속하게 검토를 마무리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