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아파트 매매시장은 역대 최저 거래량을 기록하면서 침제기를 보냈다.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수요가 급격히 위축됐고 매매 가격변동도 약세를 보였다. 올해도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부동산 어플리케이션 직방은 지난달 12일부터 26일까지 2023년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3089명 중 77.7%가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을 내놨다고 2일 밝혔다.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불과했다. ‘보합’은 12.1%로 나타났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81.5%)과 지방5대광역시(80.7%) 거주 응답자들이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았다. 경기(74.8%)와 인천(76.2%), 지방(75.3%)은 70%대를 보였다.
올해 집값 하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 부분은 금리 인상이다.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58.2%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이 다수 응답을 차지했고 나머지는 5% 미만의 소수 응답으로 나타났다. 현재 부동산 가격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응답도 10% 이상 있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한다고 전망한 이유는 ‘정부 규제 완화 기대’가 25.1%를 차지했다.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과 보유세, 대출, 규제지역 등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연 이은 추가 대책과 이에 따른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경기 회복 기대(17.5%) ▲금리인상 기조 둔화 기대(15.6%)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5.2%) ▲교통, 개발 계획 등 호재(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많은 수도권 지역 거주 응답자는 ‘정부 규제 완화’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지방5대광역시, 지방 거주 응답자는 ‘경기 회복 기대’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올해 거주지의 주택 전세가격 예상도 69.5%가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합’은 17.4%, ‘상승’은 13.1%로 나타났다.거주지역별로는 서울(72.8%)과 지방5대광역시(70.2%)가 70% 이상의 하락 응답 비율을 보였다. 경기(68.2%)와 인천(69.5%), 지방(66.1%)은 60%대의 하락 응답 비율을 나타냈다.
전셋값 하락 예상 요인으로는 ‘전세 대출 이자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가 48.7%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최근 몇 년간 가격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셋값 오를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매수 심리 위축으로 전세 수요 증가’(33.1%)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부족(23.0%) ▲신축, 신규 전세 공급 부족(1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 주택 월세가격에 대한 질문에는 ‘상승’(36.6%)과 ‘하락’(36.1%) 예상이 팽팽했다. ‘보합’은 27.3%로 응답됐다. 미미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고 거주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상승’,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하락’ 전망이 많아 차이를 보였다.
월세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월세 물량 증가’가 52.7%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전세 선호 수요 지속으로 월세 수요 감소(19.7%) ▲전세 가격 안정, 공급 증가로 월세 수요 감소(17.1%) 등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올해 주택 가격은 ‘금리 인상’이 원인으로 작용해 이에 따른 비용 부담 증가, 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을 전망하는 의견이 많았다"며 "매매와 전세 모두 현재의 가격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높아 최근 1~2년 사이 가격이 급등했던 부분이 피로감으로 누적되며 하향 조정국면을 전망하는 부분도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