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양재동 본사 모습 (사진=기아) 자동차와 철강 업계의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추석 이후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아의 경우 정년 퇴직자 자녀 우선 채용한다는 일명 고용세습 조항 문제와 정년 연장 등에서 이견이 있다. 포스코 노조도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면서 파업권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11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사는 12일 15차 본교섭을 갖는다. 당초 기아 노조는 12일부터 오전 4시간, 오후 4시간 등 하루 8시간을 파업하기로 했었다. 노사 핵심 요구 사안은 정년연장과 고용세습 조항 개정이다. 고용세습 조항은 기아 노사 단협 제27조에 담긴 조항으로, 재직 중 질병으로 사망한 조합원의 직계가족 1인, 정년퇴직자 및 장기근속자(25년 이상) 자녀를 우선 채용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로부터 시정 명령을 받은 조항으로, 사측은 이 조항을 개정하고 대신 올해 말까지 신입사원을 채용해 생산직의 노동강도를 낮추겠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정년 연장도 쟁점이다. 기아 노조는 현재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전년인 64세까지 늘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정년 퇴직자를 최대 1년간 계약직으로 재고용하는 베테랑 제도 근무 기간을 1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아 노조는 사측이 제안한 ‘기본급 11만1000원 인상, 성과급 400%+1050만원, 무분규 타결 격려금 250만원+주식 34주 등’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이 요구했던 성과 연동 임금 체계 개편안은 노조 반대로 무산됐다. 포스코 (사진=포스코) 포스코도 창사 55년 만에 파업 위기에 놓였다. 포스코 노조 측은 전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해 합법적으로 파업권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약 열흘간 조정기간을 통해 쟁의행위에 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하게 된다. 중노위 조정이 중단되고 쟁의 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찬성이 가결되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권을 갖게 된다. 포스코 노사는 올해 20여차례 임금 협상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사측은 기본임금 16만2000원(베이스업 9만2000원 포함) 인상,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현금 150만원·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지급, 격주 주4일제 도입 즉시 시행, 경영성과금 제도 개선, 직무급제 도입, 복리후생제도 개선 관련 노사 합동 태스크포스(TF) 구성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기아, 노조 파업 직전 ‘재교섭’…포스코 노조, 조정 신청

손기호 기자 승인 2023.10.11 16:55 의견 0
기아 양재동 본사 모습 (사진=기아)


자동차와 철강 업계의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추석 이후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아의 경우 정년 퇴직자 자녀 우선 채용한다는 일명 고용세습 조항 문제와 정년 연장 등에서 이견이 있다. 포스코 노조도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면서 파업권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11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사는 12일 15차 본교섭을 갖는다. 당초 기아 노조는 12일부터 오전 4시간, 오후 4시간 등 하루 8시간을 파업하기로 했었다.

노사 핵심 요구 사안은 정년연장과 고용세습 조항 개정이다. 고용세습 조항은 기아 노사 단협 제27조에 담긴 조항으로, 재직 중 질병으로 사망한 조합원의 직계가족 1인, 정년퇴직자 및 장기근속자(25년 이상) 자녀를 우선 채용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고용노동부로부터 시정 명령을 받은 조항으로, 사측은 이 조항을 개정하고 대신 올해 말까지 신입사원을 채용해 생산직의 노동강도를 낮추겠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정년 연장도 쟁점이다. 기아 노조는 현재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전년인 64세까지 늘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정년 퇴직자를 최대 1년간 계약직으로 재고용하는 베테랑 제도 근무 기간을 1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아 노조는 사측이 제안한 ‘기본급 11만1000원 인상, 성과급 400%+1050만원, 무분규 타결 격려금 250만원+주식 34주 등’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이 요구했던 성과 연동 임금 체계 개편안은 노조 반대로 무산됐다.

포스코 (사진=포스코)


포스코도 창사 55년 만에 파업 위기에 놓였다.

포스코 노조 측은 전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해 합법적으로 파업권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 약 열흘간 조정기간을 통해 쟁의행위에 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하게 된다.

중노위 조정이 중단되고 쟁의 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찬성이 가결되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권을 갖게 된다.

포스코 노사는 올해 20여차례 임금 협상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사측은 기본임금 16만2000원(베이스업 9만2000원 포함) 인상,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현금 150만원·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지급, 격주 주4일제 도입 즉시 시행, 경영성과금 제도 개선, 직무급제 도입, 복리후생제도 개선 관련 노사 합동 태스크포스(TF) 구성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