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트위치)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가 오는 27일 한국 서비스 종료를 하루 앞뒀다. 이에 통신업계가 망사용료 때문에 한국 사업을 철수한다는 트위치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반박에 나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최근 트위치의 한국 철수 원인에 대한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KTOA는 “(트위치 철수의)근본적인 원인은 ‘경영실패’ 때문”이라며 트위치의 일방적인 주장이 해외에 퍼져 우리나라 인터넷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KTOA는 트위치 주장의 반박 근거로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사례를 들었다. 망사용료가 포함된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 요금이 실제로는 국가별로 차이가 거의 나지 않기 때문이다. AWS는 자사 홈페이지에 CDN요금을 오픈하고 있다. 메인 서버가 위치한 북미를 제외하고 한국·일본·홍콩 등 대부분의 국가가 거의 같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국가별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 요금. (사진=AWS 홈페이지 갈무리) 구간별로 보았을 때 350TB 기준 AWS의 CDN 요금은 일본이 0.084 달러, 한국·홍콩·싱가포르 등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는 0.090달러다. 오히려 호주와 뉴질랜드는 0.092달러로 더 많은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트위치는 현재 구체적인 망사용료 금액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아프리카TV는 지난 2022년 전체 매출(3150억원)의 2% 수준인 약 70억원을 망사용료로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트위치코리아의 매출을 약 2275억원(한국 이용자 수 기반 추정치)로 예상하는데, 이를 아프리카TV 수준(2%)의 망사용료를 단순 대입하면 연간 45억원 정도를 낸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국 서비스 존폐를 좌우할 정도의 금액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 '경영실패'가 진짜 원인...한국 시장만의 수익모델 부재 통신업계는 트위치의 한국 시장 철수가 ‘망사용료’보다는 ‘경영실패’ 때문이라고 본다. 먼저 트위치의 모회사인 아마존의 한국 서비스 부재가 꼽힌다. 아마존이 한국에 진출했다면 구독료 무료 등의 혜택을 내세워 멤버십 서비스인 ‘프라임 게이밍’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이를 대체할만한 수익 모델이 부족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한국의 후원(도네이션)시스템이 해외와 다른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트위치의 자체 후원 플랫폼 ‘비트’는 높은 수수료율(30~40%) 때문에 스트리머와 시청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니었다. 이에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외부 플랫폼 위주로 후원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수수료 수익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트위치는 최근 글로벌 매출 감소의 여파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해 트위치 소속 직원을 400명 감원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500명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해외에서 스트리머들이 경쟁사로 대거 이탈해 스트리머 수익 배분율을 70%에서 50%로 축소하기도 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3일 VOD 서비스 중단과 관련해 트위치에게 시정명령 및 과징금 4억3500만원을 부과했다. 방통위는 트위치의 VOD 서비스 제공 중단은 이용자 이익을 해친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행위라고 판단했다.

KTOA “트위치 철수, 망사용료 핑계…경영실패 때문”

실제 망사용료, 국가별 차이 적다 주장

김태현 기자 승인 2024.02.26 11:42 의견 0
(사진=트위치)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가 오는 27일 한국 서비스 종료를 하루 앞뒀다. 이에 통신업계가 망사용료 때문에 한국 사업을 철수한다는 트위치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반박에 나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최근 트위치의 한국 철수 원인에 대한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KTOA는 “(트위치 철수의)근본적인 원인은 ‘경영실패’ 때문”이라며 트위치의 일방적인 주장이 해외에 퍼져 우리나라 인터넷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KTOA는 트위치 주장의 반박 근거로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사례를 들었다. 망사용료가 포함된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 요금이 실제로는 국가별로 차이가 거의 나지 않기 때문이다.

AWS는 자사 홈페이지에 CDN요금을 오픈하고 있다. 메인 서버가 위치한 북미를 제외하고 한국·일본·홍콩 등 대부분의 국가가 거의 같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국가별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 요금. (사진=AWS 홈페이지 갈무리)

구간별로 보았을 때 350TB 기준 AWS의 CDN 요금은 일본이 0.084 달러, 한국·홍콩·싱가포르 등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는 0.090달러다. 오히려 호주와 뉴질랜드는 0.092달러로 더 많은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트위치는 현재 구체적인 망사용료 금액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아프리카TV는 지난 2022년 전체 매출(3150억원)의 2% 수준인 약 70억원을 망사용료로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트위치코리아의 매출을 약 2275억원(한국 이용자 수 기반 추정치)로 예상하는데, 이를 아프리카TV 수준(2%)의 망사용료를 단순 대입하면 연간 45억원 정도를 낸다는 계산이 나온다. 한국 서비스 존폐를 좌우할 정도의 금액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 '경영실패'가 진짜 원인...한국 시장만의 수익모델 부재

통신업계는 트위치의 한국 시장 철수가 ‘망사용료’보다는 ‘경영실패’ 때문이라고 본다.

먼저 트위치의 모회사인 아마존의 한국 서비스 부재가 꼽힌다. 아마존이 한국에 진출했다면 구독료 무료 등의 혜택을 내세워 멤버십 서비스인 ‘프라임 게이밍’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이를 대체할만한 수익 모델이 부족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한국의 후원(도네이션)시스템이 해외와 다른 점도 원인으로 꼽힌다. 트위치의 자체 후원 플랫폼 ‘비트’는 높은 수수료율(30~40%) 때문에 스트리머와 시청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아니었다. 이에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외부 플랫폼 위주로 후원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수수료 수익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트위치는 최근 글로벌 매출 감소의 여파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해 트위치 소속 직원을 400명 감원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500명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해외에서 스트리머들이 경쟁사로 대거 이탈해 스트리머 수익 배분율을 70%에서 50%로 축소하기도 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3일 VOD 서비스 중단과 관련해 트위치에게 시정명령 및 과징금 4억3500만원을 부과했다. 방통위는 트위치의 VOD 서비스 제공 중단은 이용자 이익을 해친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행위라고 판단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