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T)
KT가 올해 2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통신 본업의 경쟁력 강화와 AICT 기업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이 실적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KT는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5.4% 증가한 1조148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매출은 같은 기간 13.5% 늘어난 7조4274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통신·AX 등 핵심 사업의 성장과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 이익 반영 등이 반영됐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6% 늘어난 4687억 원을 기록했다.
사업별로 보면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와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에 힘입어,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2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9.5%에 달했다.
유선 사업 매출도 같은 기간 1.4% 늘었다. 특히 초고속인터넷은 지난 5월 국내 최초로 가입자 1000만 명을 돌파하며 업계 1위 사업자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관련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은 VOD 매출 감소에도 IPTV 가입자 순증 확대와 프리미엄 요금제 이용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8% 성장했다. 지난 7월에는 대화형 AI 서비스 '지니 TV AI 에이전트'를 IPTV 서비스 '지니 TV'에 적용하며 고도화를 이어가고 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추진에도 불구하고, 통신과 AI·IT 사업의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특히 AI·IT 분야는 Design&Build 및 클라우드 사업 호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3.8% 성장하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다는 설명이다.
그룹사 매출도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갔다.
먼저 KT Cloud는 데이터센터(DC)와 클라우드 사업의 균형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3% 증가했다. KT에스테이트 역시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 증가했다.
금융 부문에서는 BC카드가 국내 결제 매입액 감소에도 리스크 관리 강화와 수익성 강화 전략을 통해 전년 동기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다. BC카드는 자체 카드 및 금융사업 확대와 플랫폼 비즈니스 강화를 통해 성장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KT는 주주 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2분기 분기배당은 전년 동기 대비 20% 인상된 주당 600원으로 확정했다. 지급일은 오는 14일이다.
이번 분기부터는 배당 여부와 금액이 사전에 공개되는 '선배당 후투자' 제도를 도입해 투자자들이 배당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배당절차를 개선했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추진한 2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오는 13일 완료할 예정이다.
장민 KT 최고재무책임자(CFO·전무)는 "통신 본업의 견조한 성장과 그룹 핵심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해져,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도 차질없이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