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SK텔레콤의 2분기 실적이 사이버 침해 사고 영향으로 급락했다. 회사는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고객 신뢰 회복에 힘쓰겠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조3388억원, 영업이익 3383억원, 당기순이익은 832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영업이익은 37.1%, 당기순이익은 76.2% 감소했다.

인공지능(AI)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성장하며 2분기 실적을 이끌었다.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 사업은 가동률 상승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108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인공지능 전환(AIX) 사업은 기업 간 거래(B2B) 솔루션 판매 확대에 힘입어 15.3% 성장한 46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 SK텔레콤의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은 지난 7월 말 기준 누적 가입자 10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최근 출시한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베타 서비스는 1개월 만에 누적 사용자 80만 명을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6월에는 아마존웹서비스(AWS), SK그룹 멤버사들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건설 중인 울산 AI DC는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며 SK그룹 전반의 역량을 기반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고객 신뢰 회복 위한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 시행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4월부터 사이버 침해 사고로 신규 영업을 중단했고, 가입자 대상 유심교체에 집중해왔다. 이에 2분기 가입자 감소와 유심 구매 비용 지출로 인해 실적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실적 감소는 고객 및 대리점 피해보상을 집행한 3분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사고 이후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마련해 고객 보호 및 정보보호 강화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은 ▲고객 피해 방지를 위한 '고객 안심 패키지' ▲5년간 7000억 원 규모의 정보보호 강화 투자 ▲전 국민 대상의 보상 혜택을 담은 '고객 감사 패키지' 등으로 구성된다.

'고객 안심 패키지'의 일환으로 SK텔레콤은 국내외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완료했으며, 유심 교체를 무상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FDS)도 최고 단계로 격상해 운영 중이다.

이 외에도 유심 복제 등으로 인한 피해에 대비해 '사이버 침해 보상 보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 짐페리움을 전 고객에게 1년간 무상 제공할 예정이다.

김양섭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를 냉정하고 되돌아보고, 철저하게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다시 시작하는 SK텔레콤의 변화와 도약에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