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K-게임 미래 전략을 위한 현장 간담회'가 열렸다. (사진=김태현 기자)

부산에서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 2025'가 열린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콘텐츠 수출 효자인 게임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각종 제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14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K-Game 미래 전략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산업 현안 및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인 김병주, 황명선, 서삼석 최고위원을 비롯해 김성회 게임특별위원회 위원장, 조승래 사무총장, 변성완 부산시당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는 "오늘 지스타 현장을 체험하면서 정말 놀라운 현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예전 킨텍스에서 봤던 전시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산업의 규모가 커진 것 같다"고 말했다.

정청래 대표는 17대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소속 당시 e스포츠 발전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을 결성하고 회장을 맡았다. 또 '게임산업법'의 모태가 되는 '게임진흥법'을 대표 발의하는 등 게임산업 육성 및 진흥을 위해 노력해왔다.

정 대표는 게임산업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제도권에서는 게임에 대해 중독과 같은 좋지 않은 시선이 있지만, 결국 게임이 대한민국의 효자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이재명 대통령도 게임에 대한 관심이 많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대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산업을 위한 제도적 지원도 약속했다. 정 대표는 "K-한류 수출의 63%를 게임산업이 담당하고 있다"면서 "게임산업에 대한 제도적 미비나 법적 장벽은 당 차원에서 보완하겠다"고 전했다.

업계는 산업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조영기 게임산업협회 협회장은 "한국은 세계 4위의 게임 강국임에도 세액공제, 제작비 세액공제와 같은 지원을 받고 있는 다른 국가와 달리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K-컬쳐 300조 시대 공약과 관련해 게임산업이 선봉에 설 수 있도록 지원을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승래 사무총장은 "(세제혜택에 대해)정부 측과 협의를 진행하겠다. 당국은 긍정적이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설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조 사무총장은 게임산업법(게임문화 및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에는 ▲디지털 게임 규제 완화 ▲게임 시간선택제 및 전체 이용가 게임의 본인 인증과 법정 대리인 동의 의무 폐지 ▲게임진흥원 설립 ▲게임 산업 진흥을 위한 세제 지원 근거 규정 등이 담겼다.

한편, 이날 게임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비공개 간담회 직후 정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게임 산업이 앞으로도 수출 종목으로 각광받고, 국가 브랜드를 높이는 미래 유망산업으로 굳건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