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상살미(삼정동) 마을의 '공유주차·모빌리티 사업' 시행 전과 후. (자료=국토교통부)

부천시 상살미(삼정동) 마을의 '공유주차·모빌리티 사업'이 부천시 관내 13개 지역으로 확대되고, 대중교통을 함께 연계·이용할 수 있는 통합교통서비스(Maas)로 발전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월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선정된 부천시 상살미(삼정동) 마을의 '공유주차·모빌리티 사업'를 이같이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통합교통서비스(Maas, Mobility As A Service)는 공유주차와 모든 이동수단(공유차량 및 대중교통)을 통합 검색·결제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민간기업과 지자체가 함께 발굴한 아이디어로 기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이다. 예비사업에서 1년간 사업계획 수립과 대표사업 시범운영(예산 15억원)을 추진하고, 본사업에서 3년간 스마트 시티 사업을 본격 추진(예산 200억~300억원)하는 사업이다.

부천시 삼정동에 있는 상살미마을은 2009년 주택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가 2018년에 해제되기까지 오랜 기간 동안 원도심의 고질적인 주차난을 겪은 곳이다.

스마트시티 챌린지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마을 주변 테크노파크 주차장과 마을 내 거주자우선주차면을 공유했다. 더불어 테크노파크 주차장 이용 시 주차대리 또는 공유모빌리티(공유카, 공유퀵보드) 서비스를 함께 제공했다. 이후 모든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시티패스)과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투명하게 운영·관리했다.

이를 통해 예비사업 기간 동안 공유 주차공간 280면을 확보해 주차장수급률을 증가시켰다. 이를 통해 불법주차를 41% 감소시켰으며, 마을기업(상살미 사람들) 운영으로 21명의 고용창출효과까지 거뒀다.

이러한 성과의 배경에는 민간기업 뿐 아니라 마을주민이 적극 참여해 사회적경제 모델인 마을기업(상살미사람들)을 설립하는 등 '주민참여형 사업'으로 추진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마을기업은 공유서비스를 기업과 함께 운영·관리하면서 불법주차 점검 지원 등을 수행했다. 또 부천시는 조례 개정으로 거주자우선주차면 배정 수입(1면당 3만원/월)의 70%를 마을기업에 지원해 마을기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운영모델을 구축했다.

부천시의 '공유주차·모빌리티 플랫폼'의 혁신성과 우수성이 입증되면서 여러 지자체와 기업, 해외에서 많은 관심을 표명했다. 국토부의 'K-City Network' 국제공모로 이어지는 성과도 있었다.

'공유주차·모빌리티 플랫폼'은 지난해 싱가포르, 몽골, 세르비아, 인도네시아 등 국가에서 소개된 바 있다. 몽골의 경우 수도인 울란바토르가 부천시의 자문을 통해 국토부의 'K-City Network' 국제공모에 '모빌리티 플랫폼 기본구상'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밖에 경기도 등 10여개 지자체, 한컴모빌리티 등 10여개 기업에서 솔루션 벤치마킹을 위해 부천시를 방문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