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판씨네마 정소민은 능청스러운 연기를 펼치는 이준호, 최귀화, 예지원 사이에서 단아하지만 강단 있는 조선의 신여성을 묵직하게 그려내 중심을 잡았다. 정소민의 안정적인 연기력이 ‘병맛’ 코드가 난무하는 ‘기방도령’의 균형을 맞춘 것이다.    정소민이 연기한 해원은 몰락한 양반 가문의 딸이다. 시대에 맞지 않게 열린 마음을 가진 강단 있는 여성이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자신의 뜻을 마음껏 펼치지 못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정소민은 다채로운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 만족했다. “극 중 허색은 해원이 남들과 다르다고 느껴 매력을 느낀다. 나도 그 부분이 좋았다. 자유를 갈망하고 있지만 가족을 책임져야 하는 입장이니 제 뜻을 펼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기방도령’의 웃음 코드에도 크게 만족했다. 언론시사회에서 처음으로 완성된 영화를 보면서 크게 웃기도 했다. 동료 배우들이 펼치는 코믹한 장면이 나올 때면 즐거움을 만끽했다. “언론시사회에서 기대를 크게 하면서 봤다.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웃겼다. 자리가 자리인 만큼 편하게 즐기면서 볼 수 있을지 걱정을 했는데, 너무 재밌었다. 특히 최귀화 선배가 나온 장면들이 재밌었다. 선배가 옆에서 웃으면서 보시는데, 스크린에 있는 사람이 옆에 앉아서 웃고 있으니 그게 또 재밌었다.” 사진제공=판씨네마 편하게 웃기까지 어려운 과정은 있었다. 특히 처음 도전하는 사극 연기에 대한 걱정이 있었지만 스태프, 감독님의 도움을 받으며 극복했다. “현실에 살면서 조선시대 인물을 연기하는 것이 판타지 같았다. 내가 그 세계를 어떻게 믿고 연기를 할지 걱정됐다. 하지만 현장이 조선시대 배경으로 세팅이 돼있고, 의상과 머리까지 시대에 맞춰 꾸미니까 자연스럽게 세계에 빠져들었다. 재밌게 촬영했다.” 딱딱한 사극 말투도 일부러 쓰지 않았다. 사극이라는 틀에 얽매이기 보다는 해원이라는 인물 그 자체에 집중하며 자연스러움을 강조했다. “첫 리딩 하기 전까지 말투에 대한 고민이 가장 컸다. 하지만 리딩 이후 감독님이 ‘지금 하시는 대로 하면 될 것 같다. 사극이기 때문에 말투를 딱딱하게 해야 한다는 틀에 갇히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해주셔서 두려움을 한결 놓을 수 있었다.” 특히 남대중 감독은 현장에서 배우들과 소통하며 유연한 모습을 보여줬다. 정소민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는 가감 없이 질문하며 캐릭터를 함께 만들어갔다. “처음에는 대사들이 모두 존댓말로 쓰여 있었다. 하지만 해원이 혼인 전 오빠와 추억을 나누는 장면에서는 존댓말이 어색할 것 같더라. 과거 기억이 오버랩 되면서 미안함이 터져 나오는 장면이니 반말이 저절로 나올 것 같다고 의견을 냈고, 감독님이 흔쾌히 받아주셔서 바뀐 적이 있다. 이렇게 작업을 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즐거웠다.”  ②편으로 이어짐

[마주보기①] 정소민, ‘기방도령’으로 증명한 존재감

장수정 기자 승인 2019.07.11 14:58 | 최종 수정 2139.01.20 00:00 의견 0
사진제공=판씨네마
사진제공=판씨네마

정소민은 능청스러운 연기를 펼치는 이준호, 최귀화, 예지원 사이에서 단아하지만 강단 있는 조선의 신여성을 묵직하게 그려내 중심을 잡았다. 정소민의 안정적인 연기력이 ‘병맛’ 코드가 난무하는 ‘기방도령’의 균형을 맞춘 것이다.
  
정소민이 연기한 해원은 몰락한 양반 가문의 딸이다. 시대에 맞지 않게 열린 마음을 가진 강단 있는 여성이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자신의 뜻을 마음껏 펼치지 못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정소민은 다채로운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 만족했다.

“극 중 허색은 해원이 남들과 다르다고 느껴 매력을 느낀다. 나도 그 부분이 좋았다. 자유를 갈망하고 있지만 가족을 책임져야 하는 입장이니 제 뜻을 펼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기방도령’의 웃음 코드에도 크게 만족했다. 언론시사회에서 처음으로 완성된 영화를 보면서 크게 웃기도 했다. 동료 배우들이 펼치는 코믹한 장면이 나올 때면 즐거움을 만끽했다.

“언론시사회에서 기대를 크게 하면서 봤다.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웃겼다. 자리가 자리인 만큼 편하게 즐기면서 볼 수 있을지 걱정을 했는데, 너무 재밌었다. 특히 최귀화 선배가 나온 장면들이 재밌었다. 선배가 옆에서 웃으면서 보시는데, 스크린에 있는 사람이 옆에 앉아서 웃고 있으니 그게 또 재밌었다.”

사진제공=판씨네마
사진제공=판씨네마

편하게 웃기까지 어려운 과정은 있었다. 특히 처음 도전하는 사극 연기에 대한 걱정이 있었지만 스태프, 감독님의 도움을 받으며 극복했다.

“현실에 살면서 조선시대 인물을 연기하는 것이 판타지 같았다. 내가 그 세계를 어떻게 믿고 연기를 할지 걱정됐다. 하지만 현장이 조선시대 배경으로 세팅이 돼있고, 의상과 머리까지 시대에 맞춰 꾸미니까 자연스럽게 세계에 빠져들었다. 재밌게 촬영했다.”

딱딱한 사극 말투도 일부러 쓰지 않았다. 사극이라는 틀에 얽매이기 보다는 해원이라는 인물 그 자체에 집중하며 자연스러움을 강조했다.

“첫 리딩 하기 전까지 말투에 대한 고민이 가장 컸다. 하지만 리딩 이후 감독님이 ‘지금 하시는 대로 하면 될 것 같다. 사극이기 때문에 말투를 딱딱하게 해야 한다는 틀에 갇히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해주셔서 두려움을 한결 놓을 수 있었다.”

특히 남대중 감독은 현장에서 배우들과 소통하며 유연한 모습을 보여줬다. 정소민도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는 가감 없이 질문하며 캐릭터를 함께 만들어갔다.

“처음에는 대사들이 모두 존댓말로 쓰여 있었다. 하지만 해원이 혼인 전 오빠와 추억을 나누는 장면에서는 존댓말이 어색할 것 같더라. 과거 기억이 오버랩 되면서 미안함이 터져 나오는 장면이니 반말이 저절로 나올 것 같다고 의견을 냈고, 감독님이 흔쾌히 받아주셔서 바뀐 적이 있다. 이렇게 작업을 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즐거웠다.” 

②편으로 이어짐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