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속노조포스코지회 입장문 (자료=전국금속노조포스코지회) 포스코 노사가 2021년 임금단체협약에 잠정합의했다는 말과 달리 현장직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현장직의 목소리는 배제된 채 일방적인 소통과 결과만을 내놨다는 것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동조합은 지난달 임단협을 잠정합의하고 오는 6일 조합원 대상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포스코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의 복수노조 상태다. 한국노총 포스코노동조합이 교섭대표노조로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진행 중이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2021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결사반대한다는 입장이다. 2021년 임단협 시작 전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가 전달한 안건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협상과정 역시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설명회나 간담회없이 공문으로 일방적인 소통만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소속 직원들은 업무형태 등에 따라 ‘P’ 직군과 ‘E’ 직군으로 분류된다. P직군은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관리직, E직군은 전문대 이하 현장직이다. 노조에 가입된 직군을 살펴보면 P직군(4년제 관리직)과 파트장급들(E직군이지만 관리자)들만 가입이 돼 있다. 일반 현장직(E직군)은 가입을 못하게 해놓거나 가입돼 있는 E직군들도 탈퇴를 종용하고 있어 E직군들은 임금협상에 힘을 싣지 못하고 있다. 결국 현장직의 임금협상이나 단체협약을 관리직이 하게 되는 셈이라는 것. 현재 포스코노동조합 조합원 수는 약 6000명, 포스코지회는 약 800여명이다. 포스코 전체 노동자는 약 1만7000명으로 노조 가입 인원이 과반수가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조 대 노조 갈등과 더불어 노조 대 비노조 갈등까지 더해지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는 호봉제를 연봉제로 개편하는 교섭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호봉제를 없애고 앞으로 들어오는 신입사원들에게 연봉제를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현장직원들은 임그피크제를 없애는 조건으로 미래에 들어올 신입사원들 호봉제를 없애는거여서 이를 반대하고 있다. 기본급 인상 수준도 매년 하는 수준에 그쳐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코로나 팬더믹으로 임금을 동결한 상황에서 올해 성과가 좋았던 만큼 기본급 인상도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포스코의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34조3600억원, 영업이익 3조75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21.54%(6조900억원), 331%(2조8800억원) 증가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올해 상반기 급여는 4억5100만원, 상여 5억3500만원 등 총 9억8600만원을 수령했다. 포스코지회 한 조합원은 “포스코 노동조합은 사측이 제시한 임금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했으나 지난달 27일 밤늦게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공개됐다”면서 “전체 직원들의 임금문제를 자기들끼리 정해놓고 아무런 설명조차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노가 어용이라서 회사 뜻대로 단체협약이랑 임금협상을 진행해 놓고 9월6일날 조합원들만 투표를 할수 있게 해놓았다”며 “추가교섭으로 현장 근로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합의안을 이끌어낸 곳은 한국노총 포스코노조다. 임단협 주요 내용은 ▲기본급 2.5% 인상 ▲상여금 100% ▲추석 전 임단협 타결 시 지역상품권 50만원 지급 ▲올해에 한해 조합원 1명당 지역상품권 10만원 지급 ▲복지포인트 129만원으로 인상(현행 119만원) ▲부공장장·파트장·주임 간담회비 2020년 4월 이전 수준으로 회복 등이다.

포스코 노사, 임단협 합의했다더니 '갈등 고조'…현장직 불만 목소리 높아

노조 대 노조 갈등에 노조 대 비노조 갈등까지

주가영 기자 승인 2021.09.03 12:02 | 최종 수정 2021.09.03 16:19 의견 25

전국금속노조포스코지회 입장문 (자료=전국금속노조포스코지회)


포스코 노사가 2021년 임금단체협약에 잠정합의했다는 말과 달리 현장직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현장직의 목소리는 배제된 채 일방적인 소통과 결과만을 내놨다는 것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동조합은 지난달 임단협을 잠정합의하고 오는 6일 조합원 대상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포스코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의 복수노조 상태다. 한국노총 포스코노동조합이 교섭대표노조로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진행 중이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2021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결사반대한다는 입장이다. 2021년 임단협 시작 전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가 전달한 안건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협상과정 역시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설명회나 간담회없이 공문으로 일방적인 소통만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의 소속 직원들은 업무형태 등에 따라 ‘P’ 직군과 ‘E’ 직군으로 분류된다. P직군은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관리직, E직군은 전문대 이하 현장직이다. 노조에 가입된 직군을 살펴보면 P직군(4년제 관리직)과 파트장급들(E직군이지만 관리자)들만 가입이 돼 있다. 일반 현장직(E직군)은 가입을 못하게 해놓거나 가입돼 있는 E직군들도 탈퇴를 종용하고 있어 E직군들은 임금협상에 힘을 싣지 못하고 있다. 결국 현장직의 임금협상이나 단체협약을 관리직이 하게 되는 셈이라는 것.

현재 포스코노동조합 조합원 수는 약 6000명, 포스코지회는 약 800여명이다. 포스코 전체 노동자는 약 1만7000명으로 노조 가입 인원이 과반수가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조 대 노조 갈등과 더불어 노조 대 비노조 갈등까지 더해지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는 호봉제를 연봉제로 개편하는 교섭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호봉제를 없애고 앞으로 들어오는 신입사원들에게 연봉제를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현장직원들은 임그피크제를 없애는 조건으로 미래에 들어올 신입사원들 호봉제를 없애는거여서 이를 반대하고 있다.

기본급 인상 수준도 매년 하는 수준에 그쳐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코로나 팬더믹으로 임금을 동결한 상황에서 올해 성과가 좋았던 만큼 기본급 인상도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포스코의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34조3600억원, 영업이익 3조75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21.54%(6조900억원), 331%(2조8800억원) 증가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올해 상반기 급여는 4억5100만원, 상여 5억3500만원 등 총 9억8600만원을 수령했다.

포스코지회 한 조합원은 “포스코 노동조합은 사측이 제시한 임금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했으나 지난달 27일 밤늦게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공개됐다”면서 “전체 직원들의 임금문제를 자기들끼리 정해놓고 아무런 설명조차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노가 어용이라서 회사 뜻대로 단체협약이랑 임금협상을 진행해 놓고 9월6일날 조합원들만 투표를 할수 있게 해놓았다”며 “추가교섭으로 현장 근로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합의안을 이끌어낸 곳은 한국노총 포스코노조다. 임단협 주요 내용은 ▲기본급 2.5% 인상 ▲상여금 100% ▲추석 전 임단협 타결 시 지역상품권 50만원 지급 ▲올해에 한해 조합원 1명당 지역상품권 10만원 지급 ▲복지포인트 129만원으로 인상(현행 119만원) ▲부공장장·파트장·주임 간담회비 2020년 4월 이전 수준으로 회복 등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