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관련, 증권가에선 "잘 한 협상"이란 긍정적인 평가다. 일본, EU와 동일한 15% 관세 적용으로 한국 수출에 불리했던 요인이 제거됐으며, 불확실성 제거에 따른 국내증시 영향도 긍정적이란 반응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르면 한국 상호관세율은 기존 25%에서 15%로 낮춰 확정됐다. 자동차 관세율도 15%로 인하됐고, 상호관세율 인하를 위해 한국은 미국에 3500억달러 투자를 결정했다. 이 가운데 1500억달러는 조선협력 전용펀드에, 2000억달러는 반도체, 에너지, 원전 등에 대한 투자다. 또 미국산 제품 1000억달러 구매(LNG, 에너지 등)와 함께 자동차, 트럭, 농산물 시장 개방도 일부 약속했다.

이에 대해 NH투자증권은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구매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은 협상을 잘 한 것"이라며 "지난해 대미 무역흑자 규모를 기준으로 봤을 때, 일본은 8.1배 규모의 대미투자를 약속했고, 한국과 EU는 각각 6.8배와 5.9배 규모의 투자와 미국산 물품구매를 약속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일본, EU와 동일한 15% 관세 적용은 한국 수출에 불리했던 요인이 제거되는 것"이라며 "자동차 관세 인하와 향후 전략품목(반도체/의약품)에서도 다른 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기로 약속받은 것은 긍정적"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이어 "자동차 품목 관세율 인하로 하반기 자동차 수출 낙폭은 축소될 수 있다"면서 "다만 기타 품목은 기본관세 10%에 관세율 5%p가 추가로 더해지는 것이어서 하반기 수출은 상반기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율 25%에서 15%로 인하는 한국 2025년 성장률 0.07%p 제고 요인"이라며 "1~2차 추경효과와 상호관세율 인하가 더해지면 올해 한국 성장률 1%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번 관세협상 타결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다올투자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관세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면서 "예측가능한 무역환경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피해업종인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 철강 등 관세 피해업종을 비롯한 대형 수출주에 우호적"이라고 평가했다.

김지현 애널리스트는 다만 "최근 증시에 이러한 기대감이 선반영된 상태여서 매크로에 따른 조정시 매수 전략이 적절해 보인다"면서 "만일 미국증시가 조정받더라도 자본시장 개혁이라는 한국의 차별화 요인이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열린 증시에선 한미 무역협상이 최종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코스피 지수가 장중 3288선까지 오르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차익실현 매물도 나오면서 장 초반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