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대산공장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2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기초소재 부문의 수익성 악화가 영향을 미친 가운데 회사는 범용 석유화학 사업 재편과 비핵심 자산 효율화 등 구조조정 작업에 속도를 내며 반등의 실마리를 모색하고 있다.
8일 공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의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은 2449억원으로, 전년 동기(1213억원) 대비 적자 폭이 2배가량 확대됐다. 이는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컨센서스(영업손실 1980억원)를 23.7% 상회하는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 19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감소했고 순손실도 4713억원에 달했다.
2분기 실적 부진의 핵심 원인은 기초화학 부문에 있다.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부와 LC타이탄, LC USA, 롯데GS화학을 포함한 기초화학 부문은 매출 2조 6874억원, 영업손실 2161억원을 기록했다. 대산공장 정기보수와 함께 주요 모노머 제품의 판가 하락에 따른 스프레드 축소가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
롯데케미칼은 하반기에는 정기보수 종료와 원료가 안정화에 따른 스프레드 회복으로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 455억원, 영업이익 560억원으로 흑자를 유지했으나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악화됐다. 이는 관세 불확실성과 전방 산업의 수요 둔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롯데케미칼은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제품 공급 확대를 통해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롯데정밀화학은 매출 4247억 원, 영업이익 87억원을 기록했다. 정기보수로 인해 수익성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하반기에는 정기보수 종료 및 주요 제품의 글로벌 가격 회복으로 실적 반등이 기대한다.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사업 전반의 구조조정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범용 석유화학 사업 재편과 비핵심 자산 효율화 등 비즈니스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있다”며 “하반기에는 수소 출하센터 상업 가동과 고기능성 컴파운드 사업 확대를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