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22일 포스코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2025 포스코포럼에서 기조강연자인 앤드류 맥아피(Andrew McAfee) MIT 경영대학원 교수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대전환 시대, 무엇이 미래를 만드는가’를 주제로 열린 2025 포스코포럼에서 그룹의 위기 돌파와 지속 성장 전략을 논의했다.
올해로 7회째인 포럼은 22일부터 이틀간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리며 그룹사 전 임원이 참석해 대내외 경영환경과 미래 전략을 점검한다. 기조 강연에는 앤드류 맥아피 MIT 교수가 참여해 기술 혁명과 산업 전환기의 기업 전략을 제시했다.
장 회장은 “과거의 성공 방식에 머물지 않고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며 “기술 혁신이 초일류 기업 포스코의 미래를 여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안전과 관련해 “위험 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해 안전한 일터를 만들고 K-Safety 모범 사례를 확산하겠다”고 강조했다.
포럼은 ▲新모빌리티 ▲AI 전환 ▲에너지 등 3대 메가트렌드를 중심으로 세션을 구성했다. 신모빌리티 세션에서는 소프트웨어·서비스·항공으로 진화하는 모빌리티 혁신 사례를, AI 전환 세션에서는 로봇 시연과 함께 제조업 변화 방향을 다뤘다. 에너지 세션은 화석연료에서 전동화 체제로 전환되는 글로벌 흐름과 기업 전략을 점검했다.
장 회장은 취임 이후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철강 재건과 이차전지소재 경쟁력 확보를 포함한 7대 혁신 과제를 추진 중이다. 포스코그룹은 포럼 외에도 그룹기술전략회의, 테크포럼 등을 통해 기술 개발과 사업 전략 연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