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사진=연합뉴스

"가상자산의 성장과 발전은 이용자를 단순한 이익 창출의 대상이 아닌 상생과 성장을 위한 파트너로 존중할 때에만 지속 가능할 수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30일 서울 강남 닥사(DAXA) 컨퍼런스룸에서 열린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들과의 간담회에서 "가상자산이 자산 토튼화, 스테이블코인 등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글로벌 금융질서와 경제 전반에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면서 이 같이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어 "과도한 이벤트, 고위험 상품 출시 등 단기 실적에만 몰두한 왜곡된 경쟁으로 이용자의 신뢰를 잃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며 "이용자 시각에서 신뢰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길임을 명심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두나무,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돌핀, 바우맨, 포블게이트, 한국디지털에셋, 한국디지털자산수탁, 디에스알브이랩스 등 가상자산 업계 CEO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이재명 정부가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만큼 공정성과 투명성은 시장의 근간으로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는 점도 전했다.

그는 "취약점이 보안사고로 확대된다면 최근 통신사나 금융회사 사례에서 보듯 많은 국민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면서 "가상자산사업자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IT 안전성에 그 뿌리를 둬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고도 언급했다.

이어 "시장감시 조직·인력 확충, 이상거래 적출 시스템 투자 확대 등 자체적인 시장감시 기능 강화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달라"며 "금감원도 불공정거래 이익을 철저히 환수하고 AI·온체인 분석 등 감시 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이용자 보호 강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 원장은 스테이블코인 및 가상자산 ETF 등의 도입이 금융·실물경제와 연계·확대되는 데 따른 리스크 관리도 당부했다.

이 원장은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ETF 등 금융·실물경제와의 연계 확대로 가상자산 시장의 작은 충격이 금융·실물경제에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스테이블코인 등 새로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파급효과를 사전에 면밀히 분석하고, 시장 급변 등 예상치 못한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가상자산사업자들은 이날 가상자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이용자 편익을 제고하면서도 공정한 경쟁이 이뤄질 수 있는 규율체계를 마련해달라는 건의사항을 금감원에 전달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글로벌 디지털자산의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용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할 것과 금융당국과의 긴밀히 협조에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