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사장을 지낸 이현승(사진)씨가 제7대 금융투자협회장 선거에 공식 출사표를 던졌다. 그간 자본시장 관련 국회 정책토론회나 일부 언론을 통해 출마 의사를 드러내긴 했지만 공식적인 출마 의사 표명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표는 행정고시(32회) 출신으로 재정경제부에서의 공직생활을 시작으로 메릴린치증권을 거쳐 SK증권, 코람코운용, KB자산운용 등에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대표를 16년간 역임했다. 민과 관, 증권사와 운용사, 대형사와 중소형사, 외국계와 국내기업을 모두 거친 보기 드문 경력을 갖고 있다. 이에 다양한 업권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정책당국과 소통을 통해 규제혁신을 이룰 수 있는 적임자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현승 대표는 이번 출마의 변을 통해 "한마디로 금융투자협회의 존재 이유는 회원사의 성장과 가치증대에 있다. ‘맞춤형 소통’을 통해 회원사의 니즈와 고충을 파악하고 ‘즉시 소통’을 통해 신속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는 회원사들의 든든한 동반자이자 진정한 대변자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일례로, 대형증권사들의 숙원사업인 종합금융투자사업자, IMA(종합투자계좌)의 조속한 도입 지원과 중소형 증권사들의 NCR(영업용 순자본비율) 규제 개선, 중소형 증권사, 운용사, 신탁사, 선물사들의 비용절감(컴플라이언스, IT 등)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2003년 저서 <늙어가는 대한민국>을 출간해 20여 년 전부터 고령화와 저성장 위기를 경고했던 이 대표는 이후 자본시장 현장에서 뛰며 이 위기의 해법이 바로 자본시장 활성화에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고, 이에 이번 협회장 출마를 결심했다고 전해왔다.

구상 중인 자본시장 활성화 안에는 경직된 규제환경 개선, 배당소득 분리과세 확대, 디지털자산시장 활성화 방안 등이 담길 예정이며 이는 추후 공약집을 통해 밝힐 예정이다.

이 대표는 "자본시장 활성화를 통해 국민이 자본시장에서 얻는 수익이 '제2의 월급통장'이 되도록 하겠다"며 "이를 통해 국민의 안정적 노후를 보장하고, 연기금의 수익률을 높여 정부의 재정 부담을 완화하며, 혁신기업의 자본조달을 촉진하는 생산적 금융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선거는 12월 말 치러질 예정이다. 금융투자협회장 임기는 3년이며 증권·자산운용·신탁·선물 등 총 400여곳의 협회 소속 정회원사들의 직접투표로 선출된다. 유관기관 중 소위 낙하산 논란에서 자유로운 자리 중 하나다.

앞서 출사표를 이미 던진 후보는 이현승 대표와 황성엽 신영증권 대표 등이 있다. 황 대표는 앞서 금투협회장 선거 출마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외에 서유석 현 금투협회장을 비롯해 박정림 전 KB증권 사장(현 SK증권 사외이사), 한국투자증권의 유상호·정일문 부회장, 정영채 전 NH투자증권 대표 등이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