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

정부가 전국민을 대상으로 민생회복소비쿠폰을 지급한 가운데, 카드업계로선 큰 효과가 없던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은 소비쿠폰 효과로 카드사 영업에도 도움이 됐다는 입장을 냈지만, 업계에선 '의미없는 이익'이라는 평가다.

지난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선 정부가 재정 집행을 통해 해야할 정부 사업을 카드사가 떠맡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민생소비쿠폰은 카드사가 소비자의 결제 금액을 가맹점에 선지급하고 이후 지자체가 실사용 금액을 보전하는 구조다. 다만 정부 예산 집행이 지연되면서 카드사들은 단기 자금을 조달했고, 그 이자 비용 또한 카드사들이 떠맡았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민생소비쿠폰 사업에 참여한 카드사들은 해당 기간동안 총 2조 5000억원 규모의 단기자금을 차입했고, 이 과정에서 약 80억원의 이자비용이 발생했다.

김 의원은 "카드사 입장에서는 단기 차입했던 부분을 정부가 상환해 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다른 사람이 걷어가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정부가 매번 새로운 형태의 '지원금'을 뿌리는 과정에서 카드사들로선 전산 구축 등 추가 투입비용에 대해 부담을 갖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실제로 지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당시 7개 전업 카드사가 전산 구축 및 인력 운영, 서버 업그레이드 등에 투자한 비용은 1053억원에 달했다. 당시 카드사들의 수수료 수익은 973억원으로 최종적으로는 약 80억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다른 주장을 내놓고 있다. 민간소비쿠폰과 관련해 카드사의 실익 또한 크고, 단기 차입에 따른 이자 발생 역시 카드사의 본연의 비즈니스라는 입장이다. 즉 카드사들은 소비쿠폰 시행 전 오히려 역마진을 우려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민생소비쿠폰으로 카드업계가 가장 큰 수혜를 봤다는 것이 금융당국 설명이다.

금융감독원이 국회에 제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카드사 수수료 수익 현황’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9월 사이 민생회복소비쿠폰 집행으로 국내 전업카드사들이 올린 수수료 수익은 총 392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카드업계는 소비쿠폰 효과에 대해 조심스럽기는 하나 미미하다는 반응이다.

카드사 한 관계자는 "현재로선 민생회복소비쿠폰으로 손해도 이익도 아닌 상황으로 보면 맞는 것 같다"면서 "업계 전반적인 분위기가 좋지 않아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해왔다.

한편 3분기 실적을 내놓은 삼성카드의 지난 3분기 당기순이익은 줄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161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 78억원으로 14.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1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줄었다. 카드 이용 금액과 상품 채권 잔고 증가로 매출이 늘었으나, 금융비용과 대손비용 또한 증가해 순이익이 감소했다.

신한카드 역시 3분기 순이익이 138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비 22.9% 감소했다. 3분기 누적 순이익 역시 3804억원으로 전년보다 31.2%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