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기업공개(IPO) 최대어인 크래프톤의 공모주 청약이 시작됐다 (사진=연합뉴스)

올 하반기 기업공개(IPO) 최대어인 크래프톤의 공모주 청약이 첫날부터 아쉬운 결과를 냈다. 중복 청약이 가능했지만 공모가가 높은 탓에 다른 대어급 공모주보다 적은 수준의 증거금이 모였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배틀그라운드’ 등의 게임을 만든 크래프톤은 오늘부터 이틀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시작했다.

크래프톤 청약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으로 공동 주관사는 NH투자증권, 인수회사는 삼성증권이 맡았다. 증권사별 청약 물량은 미래에셋증권이 79만 6189주(36.8%)로 가장 많고 NH투자증권 71만 8301주(33.2%), 삼성증권 64만 968주(30.0%)다.

크래프톤은 지난달 14일부터 27일까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공모가는 희망 밴드 상단인 49만8000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이에 크래프톤의 공모 규모는 4조3098억원으로 정해졌다.

크래프톤 공모가를 봤을 때 개인 투자자에게는 최소 단위인 10주의 증거금 249만원이 필요하다. 3개 증권사에 모두 최소 단위로 청약한다고 가정하면 최소 747만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날 크래프톤 공모 청약을 받은 미래에셋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에 모인 청약 증거금은 총 1조801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중복 청약이 가능했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22조2000억원)나 SK바이오사이언스(14조1000억원)는 물론 중복 청약이 막힌 카카오뱅크(12조1000억원)에도 못 미쳤다.

첫날 통합 청약 경쟁률은 2.79대 1을 기록했다. 모집 수량 259만6269주에 청약 수량은 723만5770주였다. 청약 1일 차 경쟁률 역시 카카오뱅크(37.8대 1), SK아이이테크놀로지(78.93대 1), SK바이오사이언스(75.87대 1) 등을 크게 밑돌았다.

한편 크래프톤은 이날부터 이틀간 일반 청약을 진행한 뒤 오는 10일 코스피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