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과 관련해 "내가 생각하는 방향과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17일 이 후보자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서면답변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 금통위는 이 후보자가 참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 바 있다.

이 후보자는 "금통위가 결정한 내용을 직접 평가하기가 조심스럽지만, 위원들이 금융·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했다고 보고 있으며, 내가 생각하는 방향과도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경기가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높은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도 완화 정도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라고 답했다.

업계에서는 향후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양 의원이 '후보자는 기준금리를 통해 가계부채 연착륙을 이끌겠다고 했지만, 대통령직인수위는 대출 규제 완화 등을 발표하고 있어 엇박자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자 이 후보자는 "현재 새 정부가 계획하는 대출 규제 조정은 생애 첫 주택 구입자 등 실수요자 보호에 초점을 맞춰 미시적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며 "현시점에서 통화정책과의 엇박자를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그렇지만 이런 미시 조치도 시행 과정에서 시중 유동성 등 전반적 금융 여건과 거시경제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만큼 그에 따른 영향이 커지게 되면 통화정책 운영에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이 경우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각각 추구하는 목적에 맞게 운영되는 가운데 조화를 이루도록 정책당국이 서로 소통하며 조율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 불안 원인에 대한 정운천 의원(국민의힘)의 질문에 "최근 몇 년간 주택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데는 금리뿐 아니라 주택수급과 이에 따른 가격상승 우려 등도 상당 부분 작용했다"며 "다만 사후적으로 보면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DSR 거시건전성 규제가 조금 더 일찍 강화됐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에 대한 국회 기재위 인사청문회는 오는 19일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