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총격 사건이후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는 분위기다. 예상보다 이른 시점 대선의 결말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상황. 금융시장도 발빠르게 트럼프의 정책 방향을 가격에 반영하고 나서고 있다. 증권가에선 트럼프 2기의 수혜, 피해산업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하이투자증권이 18일 내놓은 트럼프 2기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그 단면을 살펴봤다. ■ 트럼프2기 수혜는 방산 조선 에너지 이날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수혜가 예상되는 섹터는 산업재와 에너지다. 트럼프 정권에서 지출을 확대하며 주력할 산업이란 것. 특히 방산은 국내 방위 지출 확대 뿐 아니라 NATO 등 글로벌 방위비 확대 전반이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물론 미국의 에너지 개발이 한국 업체의 수혜로 직접 연결되진 않을 수 있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당장 보조금 축소가 악재일 수도 있다. 다만 장기적으로 미국의 에너지 독립 노력은 에너지의 종류를 가리지 않을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우선 방산의 경우 한국의 미국향 무기 수출은 극소량이다. 미 정권 교체 여부에 따라 국내 방산기업이 크게 영향받는 부분은 없다는 의미다. 단 트럼프는 NATO의 방위비 증강을 압박하고 있으며, 한국-NATO 협력이 강화되고 있음은 중장기적 방산수출기회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조선은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꼽혔다. 트럼프 당선 시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중국산 선박 비선호 현상으로 이어지고 한국 조선업이 반사이익 얻게될 것이란 논리다. 에너지는 원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트럼프 에너지 공약의 핵심은 저렴한 에너지원을 활용해 전력 요금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이에 석탄, 원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귀환과 함께 원전 비중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태양광도 주목할만한 분야다. 트럼프의 전통 에너지 선호가 IRA 정책폐기에 따른 신재생 보조금 축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은 물론 있다. 다만 신재생 관련 투자로 혜택을 보는 지역은 공화당 지역으로 공화당이 집권하더라도 IRA 정책 폐기는 당장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또한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태양광 수요 증가가 트럼프와 상관없이 불가항력적이란 현실도 외면할 수 없다는 것. 이에 오히려 트럼프의 중국산 수입 규제 강화로 인한 국내 기업들의 반사이익 가능성을 높게 봤다. 트럼프 집권시 건설부문은 우크라이나 재건 기회를 노리는 가운데 온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특히 원전 등 발전 분야, 도로 항만 등의 인프라, 그리고 주택 부문에서 기회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철강금속도 빼놓기 아쉬운 분야로 꼽혔다. 트럼프 당선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및 금리 인하 속도 둔화로 인해 비철금속 등 상품 가격 약세가 전망된다.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금, 은과 같은 방어 스타일의 귀금속 선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 미국 우선주의가 걱정되는 기술주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피해가 가장 큰 분야로는 기술주가 꼽혔다. 특히 바이든 정부에서 수혜를 받은 이차전지는 EV 보조금 축소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트럼프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정책에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차전지는 특히 현재 업황도 좋지 않은 상황. 만일 보조금 축소라는 악재를 만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봤다. 반도체는 반도체과학법에 근거한 보조금 지급이 축소 또는 폐지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비용, 인력 확보 문제 등을 감내한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설비 건설 이유가 훼손될 수 있다는 것. 이와 더불어 중국에 대한 일괄적 고관세 부과 시 한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도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2018년 미중분쟁시 반도체는 업황이 크게 악화된 경험도 있다. 전기전자의 경우 중국산 아이폰 및 수입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중국에 대한 애플의 소비, 생산지로서의 의존도를 감안할때 애플이 난처한 입장에 처할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인도의 입지가 강화될 것이란 관측도 보고서는 곁들였다. 기계,로봇분야는 한국 입장에선 대안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만큼, 기계 및 산업용 로봇에 있어 대중 수입 의존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대외 수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 기계/산업용 로봇 산업 특성상 중국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한 한국, 일본 업체의 수혜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또한 협동로봇이라는 새로운 로보틱스 시장이 떠오르고 있어 주요 협동로봇 업체를 갖고 있는 국내 로보틱스 시장의 수혜 정도가 클 수 있다고 봤다. ■ 영향이 제한적인 소비재 소비재 업종은 트럼프 정책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무엇보다 국내 소비재의 경우 내수 관련비중이 크거나 현지 생산역량을 보유한 기업이 많아서다. 다만 대 중국 무역분쟁이 확대될 경우 중국 경기 하강 리스크는 잠재돼 있다. 트럼프 정권에서 보편적 관세 부과시 미국 현지 생산역량 보유 여부가 업종 내 승패를 가르는 잣대가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부문별로 보면 트럼프 집권시 한국 완성차, 자동차부품 업종은 부정적일 수 있다고 봤다. 트럼프는 중국 외에도 모든 미국 외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 부과를 주장해왔다. 고부가가치 차종은 국내 공장에서 생산 후 수출하는 구조인 한국 자동차 업종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것. IRA 보조금 규모 역시 축소될 예정이며 전기차 전환 속도가 늦춰지는 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꼽혔다. 제약바이오의 경우 트럼프 집권시 긍정적인 분야로 분류됐다. 트럼프의 헬스케어 정책은 의료비용 감축과 공급망 재편을 목표로 PBM 규제, 약가 인하 및 중국 이외의 약품 생산 공급망 다변화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이는 바이오시밀러, CMDO 사업비중 높은 국내 헬스케어 업황에 긍정적인 이유라는 것. 음식료 업종도 트럼프 리스크에선 자유로운 분야다. 한국 식품업체들의 미국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보편적 관세 부과 주장이 관철될 경우 미국 현지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기업이 부각될 수 있다고 봤다. 또한 미국-멕시코 간 갈등이 심화되더라도 미국 생산시설을 거점으로 한 중남미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이란 분석이다. 운송 부문은 대체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미-중은 컨테이너, 항공 화물 업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루트다. 미국의 중국 관세율 상향시 미중간 물동량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애널픽] 돌아온 트럼프 시대, 국내 수혜 피해주는?

하이투자증권 트럼프2기 국내 산업별 분석과 전망

홍승훈 기자 승인 2024.07.18 10:41 의견 0


트럼프 총격 사건이후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는 분위기다. 예상보다 이른 시점 대선의 결말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 상황. 금융시장도 발빠르게 트럼프의 정책 방향을 가격에 반영하고 나서고 있다. 증권가에선 트럼프 2기의 수혜, 피해산업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하이투자증권이 18일 내놓은 트럼프 2기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그 단면을 살펴봤다.

■ 트럼프2기 수혜는 방산 조선 에너지

이날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수혜가 예상되는 섹터는 산업재와 에너지다. 트럼프 정권에서 지출을 확대하며 주력할 산업이란 것. 특히 방산은 국내 방위 지출 확대 뿐 아니라 NATO 등 글로벌 방위비 확대 전반이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물론 미국의 에너지 개발이 한국 업체의 수혜로 직접 연결되진 않을 수 있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당장 보조금 축소가 악재일 수도 있다. 다만 장기적으로 미국의 에너지 독립 노력은 에너지의 종류를 가리지 않을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우선 방산의 경우 한국의 미국향 무기 수출은 극소량이다. 미 정권 교체 여부에 따라 국내 방산기업이 크게 영향받는 부분은 없다는 의미다. 단 트럼프는 NATO의 방위비 증강을 압박하고 있으며, 한국-NATO 협력이 강화되고 있음은 중장기적 방산수출기회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조선은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꼽혔다. 트럼프 당선 시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중국산 선박 비선호 현상으로 이어지고 한국 조선업이 반사이익 얻게될 것이란 논리다.

에너지는 원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트럼프 에너지 공약의 핵심은 저렴한 에너지원을 활용해 전력 요금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이에 석탄, 원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귀환과 함께 원전 비중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태양광도 주목할만한 분야다. 트럼프의 전통 에너지 선호가 IRA 정책폐기에 따른 신재생 보조금 축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은 물론 있다. 다만 신재생 관련 투자로 혜택을 보는 지역은 공화당 지역으로 공화당이 집권하더라도 IRA 정책 폐기는 당장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또한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태양광 수요 증가가 트럼프와 상관없이 불가항력적이란 현실도 외면할 수 없다는 것. 이에 오히려 트럼프의 중국산 수입 규제 강화로 인한 국내 기업들의 반사이익 가능성을 높게 봤다.

트럼프 집권시 건설부문은 우크라이나 재건 기회를 노리는 가운데 온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특히 원전 등 발전 분야, 도로 항만 등의 인프라, 그리고 주택 부문에서 기회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다.

철강금속도 빼놓기 아쉬운 분야로 꼽혔다. 트럼프 당선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에 따른 경기 둔화 및 금리 인하 속도 둔화로 인해 비철금속 등 상품 가격 약세가 전망된다.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금, 은과 같은 방어 스타일의 귀금속 선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 미국 우선주의가 걱정되는 기술주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피해가 가장 큰 분야로는 기술주가 꼽혔다. 특히 바이든 정부에서 수혜를 받은 이차전지는 EV 보조금 축소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트럼프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정책에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차전지는 특히 현재 업황도 좋지 않은 상황. 만일 보조금 축소라는 악재를 만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봤다.

반도체는 반도체과학법에 근거한 보조금 지급이 축소 또는 폐지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비용, 인력 확보 문제 등을 감내한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설비 건설 이유가 훼손될 수 있다는 것. 이와 더불어 중국에 대한 일괄적 고관세 부과 시 한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도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2018년 미중분쟁시 반도체는 업황이 크게 악화된 경험도 있다.

전기전자의 경우 중국산 아이폰 및 수입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중국에 대한 애플의 소비, 생산지로서의 의존도를 감안할때 애플이 난처한 입장에 처할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인도의 입지가 강화될 것이란 관측도 보고서는 곁들였다.

기계,로봇분야는 한국 입장에선 대안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만큼, 기계 및 산업용 로봇에 있어 대중 수입 의존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대외 수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 기계/산업용 로봇 산업 특성상 중국의 빈자리를 메우기 위한 한국, 일본 업체의 수혜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또한 협동로봇이라는 새로운 로보틱스 시장이 떠오르고 있어 주요 협동로봇 업체를 갖고 있는 국내 로보틱스 시장의 수혜 정도가 클 수 있다고 봤다.

■ 영향이 제한적인 소비재

소비재 업종은 트럼프 정책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무엇보다 국내 소비재의 경우 내수 관련비중이 크거나 현지 생산역량을 보유한 기업이 많아서다. 다만 대 중국 무역분쟁이 확대될 경우 중국 경기 하강 리스크는 잠재돼 있다. 트럼프 정권에서 보편적 관세 부과시 미국 현지 생산역량 보유 여부가 업종 내 승패를 가르는 잣대가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부문별로 보면 트럼프 집권시 한국 완성차, 자동차부품 업종은 부정적일 수 있다고 봤다. 트럼프는 중국 외에도 모든 미국 외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 부과를 주장해왔다. 고부가가치 차종은 국내 공장에서 생산 후 수출하는 구조인 한국 자동차 업종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것. IRA 보조금 규모 역시 축소될 예정이며 전기차 전환 속도가 늦춰지는 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꼽혔다.

제약바이오의 경우 트럼프 집권시 긍정적인 분야로 분류됐다. 트럼프의 헬스케어 정책은 의료비용 감축과 공급망 재편을 목표로 PBM 규제, 약가 인하 및 중국 이외의 약품 생산 공급망 다변화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이는 바이오시밀러, CMDO 사업비중 높은 국내 헬스케어 업황에 긍정적인 이유라는 것.

음식료 업종도 트럼프 리스크에선 자유로운 분야다. 한국 식품업체들의 미국 매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보편적 관세 부과 주장이 관철될 경우 미국 현지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기업이 부각될 수 있다고 봤다. 또한 미국-멕시코 간 갈등이 심화되더라도 미국 생산시설을 거점으로 한 중남미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이란 분석이다.

운송 부문은 대체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미-중은 컨테이너, 항공 화물 업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루트다. 미국의 중국 관세율 상향시 미중간 물동량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