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트럼프가 디지털자산에 대한 신념이 '정치적 탄압'에서 시작됐다고 밝혔다. 에릭 트럼프는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의 차남이자 미국 블록체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의 대표다.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미국 민주당 및 전통 금융권의 견제에 따라 대응 수단을 찾던 중 크립토 금융에 눈을 떴다는 것이다.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Upbit D Conference·UDC)'에 화상 방식으로 참여한 에릭 트럼프는 "트럼프 패밀리가 디지털자산 시장에 진출한 이유는 크립토 혁명의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날 에릭 트럼프는 첫 번째 키노트 세션에 참여해 윤선주 두나무 최고브랜드임팩트책임자(CBIO)와 화상 특별대담을 나눴다. 두 사람은 ‘금융·비즈니스·디지털자산: 흐름과 미래 전망’을 주제로 밀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트럼프가는 하드에셋(부동산)을 좋아하는 집안이지만 정치적 압력으로 여러 은행과 기업들이 트럼프 일가를 끊어내는 과정을 보며 투명한 디지털자산 생태계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존 금융권은 송금 등 금융 시스템이 느리고 낙후해 개인의 자산을 부당하게 오래 예치하게 함으로써, 그에 따른 이자 등 이득을 은행이 챙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자산을 활용하면 24시간 송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초단위로 이뤄지면서 수수료가 0에 가깝다는 설명이다.
에릭 트럼프는 트럼프 그룹(The Trump Organization)의 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을 맡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 채굴 및 준비금 구축 벤처인 아메리칸 비트코인(American Bitcoin)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 전략 책임자(CSO)로 활동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의 웹3 홍보대사를 맡고 있다.
그는 전통 금융권은 크립토가 시작된 초기에는 디지털자산을 무시했다가 세계적으로 커뮤니티들의 신뢰를 받으며 성장하자 뒤늦게 디지털자산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JP모건 등과 같은 전통 금융권이 디지털자산을 수용하고 있다고 해도 최후 경쟁에서는 코인베이스나 바이낸스, 업비트 등에 뒤쳐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에릭 트럼프는 디지털자산의 미래는 '지금'이라면서 아직도 시장 진입이 늦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디지털자산 분야는 아직도 신생이고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비트코인은 향후에도 오랜 시간동안 우리가 이야기할 자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