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29일 우리은행 본점에서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브리핑하고 있다.(자료=동영상 캡처)
우리금융그룹이 '생산적 금융'과 '포용적 금융'에 향후 5년간 총 80조원을 투입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우리금융그룹은 29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임종룡 회장 외 계열사 대표 7명이 참여한 가운데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 행사를 열고 이 같은 청사진을 제시했다.
우선 우리금융은 정부가 150조원(정부 75조원+민간 75조원) 규모로 조성하는 국민성장펀드에 민간에서는 처음으로 10조원 투입 계획을 밝혔다. 전체 민간 조성 펀드액(75조원)의 13.3%를 차지하는 규모다. 10조원 외 모험자본 등 자체 투자 7조원, 첨단전략산업 융자 56조원 등 63조원을 '생산적 금융'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포용금융 7조원은 서민금융대출 확대가 핵심이다. 현재 6개인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를 11개까지 늘려 현장밀착형 대면 지원을 강화하고 금리우대 역시 계속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매년 11만명씩 5년간 총 55만명의 소상공인, 취약계층에게 혜택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정부가 강조하는 금융소비자보호에도 집중하기로 했다. 지난 7월 회장 직속 소비자보호실을 신설한 데 이어 소비자보호총괄임원 임기(2년)를 보장하고 이사회에 임면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또한 은행권 처음으로 ‘금융사기예방부’를 신설해 보이스피싱 등 각종 금융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우리금융은 생산적·포용금융을 확대해도 자본 안정성과 건전성이 타격받을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룹의 자산 리밸런싱, 당국의 규제 전환, 가계대출 축소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것. 시장과 약속한 연말 그룹 보통주자본비율 12.5% 달성과 지난해 공시한 배당 확대 등 밸류업 계획 역시 차질 없이 이행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날 직접 브리핑에 나선 임종룡 회장은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는 기업금융 명가로서 축적해 온 노하우와 강점, 종합금융그룹 완성을 통해 진용을 갖춘 자회사들의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성장-도약 등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본 프로젝트 완수를 통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이뤄 우리금융 지속성장의 기반도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자료=우리금융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