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의 거짓' 대표 이미지.(자료=네오위즈) 올해 게임업계 최대 이슈는 표절 논란입니다. 그 중심에는 '리니지 라이크'가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의 MMORPG '리니지'를 닮은 게임을 일컫는 '리니지 라이크' 관련 표절 시비는 지난 2020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엔씨소프트가 당시 웹젠에서 선보인 'R2M'이 '리니지'를 표절했다는 주장을 하면서 소송전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최근 '리니지 라이크'가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국내에서 우후죽순 생겨난 모바일 MMORPG 중 '리니지 라이크'로 보이는 게임들에 대한 엔씨소프트의 대응이 본격화되면서 입니다. 최근에는 올해 초 선보인 카카오게임즈의 '아키에이지 워'도 '리니지'를 표절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 일은 어렵습니다. 표절 의혹을 받는 게임들의 대표적인 해명은 장르의 유사성과 보편성입니다. 장르는 작품들을 구분하는 일정한 양식으로 아이디어나 배경 등이 기본적으로 비슷한 걸 묶어냅니다. 가령 게임에서는 MMORPG와 FPS, AOS 등이 대표적입니다. MMORPG 장르는 몬스터를 잡고 캐릭터가 강해지고 이를 통해 타 이용자들과 대규모 전투 등을 벌이는 성장 흐름을 보입니다. 콘텐츠 적인 측면 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나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등도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엔씨소프트는 기본적으로 MMORPG 장르인 '리니지 라이크' 게임을 두고 대부분 콘텐츠 적인 부분 외에 UI와 UX의 유사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의 게임들이 MMORPG라는 장르가 아닌 '리니지 라이크'를 만들어 낸 독창성도 UI와 UX, 나아가 BM(비즈니스 모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판단인 것 같습니다. '리니지 라이크'로 비판 받는 게임들을 향한 국내 이용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습니다. 그동안 국내 게임사들이 양산형 게임을 제작하는데 몰두했다는 비판과 함께 최근 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이용자들의 저작권 관련 도덕적 잣대도 엄격해졌습니다. '리니지'가 좋은 게임이냐 나쁜 게임이냐를 떠나서 창작물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는데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최근 또 다른 '라이크'로 주목받는 게임이 있습니다. 네오위즈의 신작 3인칭 액션 RPG 'P의 거짓'입니다. 'P의 거짓'은 기본적으로 액션 RPG이지만 일본 게임사 프롬소프트웨어의 '블러드본'과 '다크소울' 시리즈와 유사해 보입니다. 이른바 '다크소울' 시리즈를 닮은 게임이라는 의미에서 '소울 라이크' 혹은 '소울류' 게임에 속한다는 겁니다. 행동 딜레이를 고려하고 회피와 방어, 공격을 적절한 타이밍에 섞어 사용하는 고난이도의 전투를 요구하는 게 핵심적인 장르입니다. 'P의 거짓' 역시 난이도 높은 전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얼리 엑세스 출시와 함께 일부 수정이 이뤄지긴 했으나 UI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따지고 보면 'P의 거짓'도 결국 '리니지 라이크'로 불리는 게임들이 공격당하는 것과 크게 다를 것이 없어보입니다. 그런데 오히려 해외 다수의 상을 휩쓸고 국내 이용자들은 응원의 메시지까지 보냅니다. 국내 PC, 콘솔 게임의 발전을 바라는 이용자들이 애써 유사성을 못본 체하거나 부정하는 걸까요. 국산 게임을 응원하는 이중잣대라는 비판까지도 일부 나오는데 이는 타당한 지적일까요.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우선적으로 '소울 라이크'라는 장르를 만들어 낸 '블러드본' 제작진도 이를 딱히 문제 삼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해외 전문 웹진 중 하나인 IGN은 "'P의 거짓'은 소울라이크 장르에서 큰 차별성이 있지는 않으나 소울라이크의 역할을 아주 잘 수행한다"는 호평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P의 거짓' 개발진은 '블러드본'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도 직접 인정을 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블러드본' 배급사인 소니의 프로듀서와 만나 사진을 찍고 존경심을 드러내는 등 원작자에 대한 무한한 존중을 보냈습니다. 이는 'P의 거짓' 세계관을 구성하는 '피노키오' 원작자 카를로 콜로디에 대한 헌사가 게임 내에 담겨있다는 점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이와 함께 'P의 거짓'은 충분한 독창성도 갖췄습니다. 피노키오를 이용한 스팀펑크 세계관도 '블러드본'이나 '다크소울' 시리즈와 엄연한 차별점입니다. 따져보면 전투 시스템을 비롯해 세세하게 다른 점이 있지만 이런 부분을 놓고 표절이냐 아니냐를 따지기에는 지나치게 소모적인 논쟁이 될 것 같습니다. '리니지 라이크' 게임 다수가 국내 모바일 MMORPG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는 점이나 BM을 고려하면 필연적으로 이는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으로 향할 수 밖에 없습니다. 뺏고 뺏기는 경쟁의 영역에서 자기 밥그릇을 지켜야하고 이 과정에서는 창작물에 대한 독창성은 물론 타인의 작품에 대한 존중을 찾아보기는 어렵습니다. '소울 라이크'는 조금 달라 보입니다. 'P의 거짓'에서 '소울라이크'의 매력을 느꼈다면 '블러드본'이나 '다크소울' 시리즈로의 이용자 유입도 기대됩니다. 확장 한계에 부딪힌 MMORPG 시장과는 조금 다릅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논 제로섬 게임(Non Zero-sum game)'인 셈입니다. 변방의 산업이었던 게임 산업의 덩치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고 성숙기가 필요해진 때입니다. 트렌드를 따라가기 바뻤던 시절은 지나갔으며 게임사에도 엄격한 기업의 윤리적 책임을 요구하고 있는 시대입니다. 게임 지식 재산권에 대한 보호는 사법부가 정해진 법률에 따라 판단하겠지만 법률적인 해석과 판단에만 매몰되는 건 아쉽습니다. 오히려 업계 내부에서 더욱 논의돼야 할 장르적 확장과 창작물에 대한 오마주를 어디까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와 같은 이야깃거리를 단순히 사법의 영역으로만 가둔다면 표절과 관련한 똑같은 문제가 반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업계 취재를 하면서 내부자들로부터 많이 들었던 말 중 하나는 게임사는 함께 성장하는 걸 지향한다는 겁니다. 그런 차원에서 개발자들의 창작물에 대한 보호 외에도 이들이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존중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길 바랍니다. 그래야 국내 게이머, 나아가 한국 게임의 발전을 기대하는 글로벌 게이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게임사가 탄생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정지수의 랜드마크] P의 거짓, 상생의 ‘소울 라이크’…표절 논란 속 ‘리니지 라이크’

제로섬 게임 향한 국내 모바일 MMORPG 시장, 표절 논란 격화
개발자의 고유한 창작물이 존중받는 환경 조성 이뤄지길

정지수 기자 승인 2023.09.18 12:38 | 최종 수정 2023.09.18 12:42 의견 0
'P의 거짓' 대표 이미지.(자료=네오위즈)

올해 게임업계 최대 이슈는 표절 논란입니다. 그 중심에는 '리니지 라이크'가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의 MMORPG '리니지'를 닮은 게임을 일컫는 '리니지 라이크' 관련 표절 시비는 지난 2020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엔씨소프트가 당시 웹젠에서 선보인 'R2M'이 '리니지'를 표절했다는 주장을 하면서 소송전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최근 '리니지 라이크'가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국내에서 우후죽순 생겨난 모바일 MMORPG 중 '리니지 라이크'로 보이는 게임들에 대한 엔씨소프트의 대응이 본격화되면서 입니다. 최근에는 올해 초 선보인 카카오게임즈의 '아키에이지 워'도 '리니지'를 표절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 일은 어렵습니다. 표절 의혹을 받는 게임들의 대표적인 해명은 장르의 유사성과 보편성입니다. 장르는 작품들을 구분하는 일정한 양식으로 아이디어나 배경 등이 기본적으로 비슷한 걸 묶어냅니다. 가령 게임에서는 MMORPG와 FPS, AOS 등이 대표적입니다.

MMORPG 장르는 몬스터를 잡고 캐릭터가 강해지고 이를 통해 타 이용자들과 대규모 전투 등을 벌이는 성장 흐름을 보입니다. 콘텐츠 적인 측면 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UI)나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등도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엔씨소프트는 기본적으로 MMORPG 장르인 '리니지 라이크' 게임을 두고 대부분 콘텐츠 적인 부분 외에 UI와 UX의 유사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의 게임들이 MMORPG라는 장르가 아닌 '리니지 라이크'를 만들어 낸 독창성도 UI와 UX, 나아가 BM(비즈니스 모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판단인 것 같습니다.

'리니지 라이크'로 비판 받는 게임들을 향한 국내 이용자들의 시선은 곱지 않습니다. 그동안 국내 게임사들이 양산형 게임을 제작하는데 몰두했다는 비판과 함께 최근 문화 콘텐츠를 소비하는 이용자들의 저작권 관련 도덕적 잣대도 엄격해졌습니다. '리니지'가 좋은 게임이냐 나쁜 게임이냐를 떠나서 창작물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는데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최근 또 다른 '라이크'로 주목받는 게임이 있습니다. 네오위즈의 신작 3인칭 액션 RPG 'P의 거짓'입니다. 'P의 거짓'은 기본적으로 액션 RPG이지만 일본 게임사 프롬소프트웨어의 '블러드본'과 '다크소울' 시리즈와 유사해 보입니다. 이른바 '다크소울' 시리즈를 닮은 게임이라는 의미에서 '소울 라이크' 혹은 '소울류' 게임에 속한다는 겁니다.

행동 딜레이를 고려하고 회피와 방어, 공격을 적절한 타이밍에 섞어 사용하는 고난이도의 전투를 요구하는 게 핵심적인 장르입니다. 'P의 거짓' 역시 난이도 높은 전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얼리 엑세스 출시와 함께 일부 수정이 이뤄지긴 했으나 UI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따지고 보면 'P의 거짓'도 결국 '리니지 라이크'로 불리는 게임들이 공격당하는 것과 크게 다를 것이 없어보입니다. 그런데 오히려 해외 다수의 상을 휩쓸고 국내 이용자들은 응원의 메시지까지 보냅니다. 국내 PC, 콘솔 게임의 발전을 바라는 이용자들이 애써 유사성을 못본 체하거나 부정하는 걸까요. 국산 게임을 응원하는 이중잣대라는 비판까지도 일부 나오는데 이는 타당한 지적일까요.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우선적으로 '소울 라이크'라는 장르를 만들어 낸 '블러드본' 제작진도 이를 딱히 문제 삼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해외 전문 웹진 중 하나인 IGN은 "'P의 거짓'은 소울라이크 장르에서 큰 차별성이 있지는 않으나 소울라이크의 역할을 아주 잘 수행한다"는 호평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P의 거짓' 개발진은 '블러드본'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도 직접 인정을 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블러드본' 배급사인 소니의 프로듀서와 만나 사진을 찍고 존경심을 드러내는 등 원작자에 대한 무한한 존중을 보냈습니다. 이는 'P의 거짓' 세계관을 구성하는 '피노키오' 원작자 카를로 콜로디에 대한 헌사가 게임 내에 담겨있다는 점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이와 함께 'P의 거짓'은 충분한 독창성도 갖췄습니다. 피노키오를 이용한 스팀펑크 세계관도 '블러드본'이나 '다크소울' 시리즈와 엄연한 차별점입니다. 따져보면 전투 시스템을 비롯해 세세하게 다른 점이 있지만 이런 부분을 놓고 표절이냐 아니냐를 따지기에는 지나치게 소모적인 논쟁이 될 것 같습니다.

'리니지 라이크' 게임 다수가 국내 모바일 MMORPG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는 점이나 BM을 고려하면 필연적으로 이는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으로 향할 수 밖에 없습니다. 뺏고 뺏기는 경쟁의 영역에서 자기 밥그릇을 지켜야하고 이 과정에서는 창작물에 대한 독창성은 물론 타인의 작품에 대한 존중을 찾아보기는 어렵습니다.

'소울 라이크'는 조금 달라 보입니다. 'P의 거짓'에서 '소울라이크'의 매력을 느꼈다면 '블러드본'이나 '다크소울' 시리즈로의 이용자 유입도 기대됩니다. 확장 한계에 부딪힌 MMORPG 시장과는 조금 다릅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논 제로섬 게임(Non Zero-sum game)'인 셈입니다.


변방의 산업이었던 게임 산업의 덩치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고 성숙기가 필요해진 때입니다. 트렌드를 따라가기 바뻤던 시절은 지나갔으며 게임사에도 엄격한 기업의 윤리적 책임을 요구하고 있는 시대입니다. 게임 지식 재산권에 대한 보호는 사법부가 정해진 법률에 따라 판단하겠지만 법률적인 해석과 판단에만 매몰되는 건 아쉽습니다. 오히려 업계 내부에서 더욱 논의돼야 할 장르적 확장과 창작물에 대한 오마주를 어디까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와 같은 이야깃거리를 단순히 사법의 영역으로만 가둔다면 표절과 관련한 똑같은 문제가 반복될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업계 취재를 하면서 내부자들로부터 많이 들었던 말 중 하나는 게임사는 함께 성장하는 걸 지향한다는 겁니다. 그런 차원에서 개발자들의 창작물에 대한 보호 외에도 이들이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고 존중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길 바랍니다. 그래야 국내 게이머, 나아가 한국 게임의 발전을 기대하는 글로벌 게이머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게임사가 탄생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