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의 한 공사 현장. (자료=연합뉴스)

경기침체와 고금리 환경에 장기간 노출된 건설업계가 '인력난'에 신음하고 있다. 건설사의 수익성 악화로 일거리가 줄어들자 인력 유입 현황도 지속적으로 나빠지는 등 건설경기 침체의 단면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건설산업의 반등을 위해서는 고령화 문제와 건설업종 기피 현상 심화에 따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1일 오치돈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 연구실장은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산업의 위기 진단과 대응 전략' 세미나에서 "청년층 유입 저하 및 고령화, 임금 수준 대비 많은 근로시간 인식 등으로 건설업계의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건설 기술인재의 육성·양성을 위한 전담 부서 신설과 '건설기술인재개발위원회' 등의 설치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는 77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명이 줄었다. 같은 기간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는 각각 4만명, 19만2000명이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0개월째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에는 감소 폭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건설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2000명이 줄었으나 그 다음달에는 4000명까지 감소 폭을 키웠다. 이어 3월과 4월에 각각 6000명과 7000명이 줄었고, 5월에는 8000명이 빠져나갔다. 6월에는 감소폭이 1만명을 넘어서면서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 규모가 만 명 대를 기록했다.

건설업계의 인력난은 통계청 취업 지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 수는 205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6만6000명이 감소하면서 3.1%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올해 3월에 211만7000명을 기록한 뒤 3개월 연속 감소세다.

건설 고용보험 가입자 수와 취업자 수가 동시에 감소한 것은 상시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가 동시에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두 수치가 동시에 줄어든 것은 지난 2009년 5~6월과 2013년 2~5월 등이다. 각각 글로벌 금융위기와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산업 내 구조조정이 이뤄졌던 시기다.

건설업계의 이 같은 인원 감축은 수주 물량의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실제로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건설수주액은 9조8496억원으로 9개월만에 수주액이 10조원 선으로 내려왔다. 올해 1~5월 건설수주 총액 59조1620억원에 그쳤다. 이는 2020년(55조4381억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단순히 수주 물량의 감소보다는 기성금의 변동을 봐야겠으나 건설공사가 연초 감소한 이후 하반기로 가면서 점차 증가하는 계절성을 가지는 걸 고려하면 취업자 수의 감소세가 이어지는 상황은 분명 이례적"이라면서 "건축 마감공사 물량 위축과 향후 공사 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과거 건설업 취업자와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동시에 감소한 시점을 고려하면 산업적으로 침체가 본격화되는 시점이라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