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13일에 열리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형 건설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줄줄이 증인석에 설 전망이다. 국회가 확정한 증인·참고인 명단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 내 주요 기업들이 대거 포함됐다. 건설 현장 사망사고와 부실시공 책임을 둘러싼 여야 공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위원회 (사진=연합)

■ 10개 건설사 CEO 소환, 시공능력 상위 기업 대거 포함

26일 국회에 따르면, 이번 국감 증인·참고인 명단에 10개 건설사 CEO를 전날 채택했다. 구체적으로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GS건설, 포스코이앤씨, HDC현대산업개발 등 상위 10위 건설사들이 포함됐다.

명단에 오른 인사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이사 ▲이해욱 DL그룹 회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이사 등이다.

금호건설도 국감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박세창 부회장은 내달 29일 건설현장 사고와 함께 충북 오송 지하차도 부실시공 책임 문제로 출석 예정이다. 지난해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집중호우가 내렸음에도 안전조치가 미흡했던 점이 드러나 사회적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은 모두 최근 건설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한 기업이다. 국회는 사망사고 재발 방지 대책과 현장 안전관리 책임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 특혜 의혹, 사업 갈등 건설사도 소환

이번 증인 신청 사유는 대부분 건설현장 사고와 연관돼 있다. 다만 일부 건설사는 특혜 의혹과 사업 갈등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가덕도 신공항 수의계약 일방 파기'와 '윤석열 정부 관저 공사 특혜 의혹'이 소환 사유다. 롯데건설은 '쌍령공원 민간개발 특례사업 관련 유동성 점검' 문제가 지목됐다.

중견 건설사들도 이름을 올렸다. 서희건설은 이봉관 회장과 김원철 대표가 함께 출석 요구를 받았다. 주택공급과 건설정책 구조 문제와 제도 개선 방안 청문이 목적이다. 서희건설은 윤석열 정부에서 영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인사 청탁을 시도했다는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는 상황이어서 정치권 공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건설업계는 이번 국감 소환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CEO들이 직접 증인석에 나설 경우 여론 타격과 향후 공공 입찰과 민간 수주에서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들어 주요 건설사에서 연이어 사망사고가 발생하면서 안전관리 부실이라는 낙인이 찍힐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또한 한편으로는 건설업 구조상 인명사고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정부와 발주처, 시공사가 함께 문제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업계에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