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항공기 (사진=에어부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의 최종 승인으로 마무리단계에 이른 가운데, 양사의 자회사인 저비용항공사(LCC) 통합 추진도 이뤄질 전망이다. 다만 에어부산을 둘러싼 부산지역사회의 반발 등 가시밭길이 예고됐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EC 최종 승인 소식이 들리자마자 부산상공회의소는 “에어부산을 부산지역 거점 항공사로 존치해 달라”며 “그렇지 않으면 지역의 거센 저항을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대한항공은 “LCC 3사 통합은 기존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 대한항공, 이달 20일 전 아시아나 주식 취득 전망
2일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EC의 최종 승인으로 사실상 경쟁당국의 모든 심사를 완료했다. 미국 경쟁당국인 법무부(DOJ)의 절차가 있지만, DOJ는 독과점 소송을 제기하지 않으면 통과됐다고 볼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로써 4년간 14개 필수 신고국의 승인을 모두 받은 셈이다.
대한항공은 이달 20일 이전까지 제3자 배정방식으로 1조5000억원을 투자해 아시아나항공 주식 63.9%를 취득해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문제는 LCC 통합이 다음 과제로 남았는데, 이 또한 순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LCC 자회사 3사가 통합되면 국내 LCC에서 단숨에 1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매출 규모도 대한항공의 자회사 진에어,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지난해 기준 매출 총 합게가 2조4785억원에 이른다. 이는 현재 LCC 1위인 제주항공의 지난해 매출 1조7240억원을 1조원 가까이 넘어서는 규모다.
■ LCC 3사 통합, 경쟁당국 심사 길지 않을 듯…부산시 등 “합병 반대”
LCC 3사의 합병도 경쟁당국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들 LCC가 운영하는 노선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만큼은 아니기 때문에 경쟁당국 심사는 대한항공과 같이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부산시와 부산지역 사회는 에어부산의 합병을 반대하고 존치를 주장하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EC 최종승인 소식이 전해지면서 부산상공회의소는 1일 성명을 내고 지역 거점 항공사인 에어부산의 부산 존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상의는 성명을 통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지난 4년간의 합병 승인 기간은 부산으로서는 거점 항공사를 존치하도록 해 지역의 기업 자산을 지키려는 한결같은 염원의 시간이었다”며 “에어부산을 지키려는 바람은 산업은행과 국토부, 대한항공의 무관심과 성의 없는 대응으로 철저히 외면돼 왔다”고 주장했다.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부산이 거점 항공사를 잃게 된다면 오는 2029년 개항을 앞둔 가덕도신공항의 활성화는 물론이고, 부산의 민심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고려와 지원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에어부산은 지난 2007년 부산시와 지역 기업들이 공동 출자해 설립했다. 현재 아시아나항공이 지분의 41.9%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고, 부산시 2.9%, 부산 지역 기업 13.1%로 약 16% 지분을 갖고 있다. 지난해 에어부산의 김해공항 이용객은 전체 이용객 총 1369만4710명 중 489만여명으로 점유율 35.7%로 1위를 달성했다. 이는 10년 연속 1위다.
부산상의는 “에어부산은 부산기업과 부산시민의 손으로 일궈낸 자랑스러운 기업 자산”이라며, “이를 정부 산업정책으로 잃게 된다면 지역의 거센 저항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이어 “산업은행과 국토부가 결합 승인 이후에 에어부산 논의를 할 수 있다고 했다”며 “이제는 지역상공계, 부산시, 지역 정치권 등 이해 당사자가 모두 참여하는 본격적인 논의의 장을 조속히 만들어 달라”고 산업은행에 요구했다.
대한항공은 LCC 3사의 통합은 기존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대한항공 측은 “LCC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기단규모 확대와 원가경쟁력 확보가 필수임에 따라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3사의 통합 운영이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통합 LCC 출범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과 계획은 향후 LCC 3사가 상호 협의해 수립하고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