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여객기 사고 합동감식팀이 지난 3일 현장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제주항공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등 연이은 사고에 국토부가 항공 안전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부는 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하고, 오는 4월까지 안전 체계 보완을 위한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4일 서울에서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와 '항공안전 혁신 위원회'의 첫 기획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위원회를 이끌 위원장을 선출하고, 향후 운영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이달 초부터 오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되며, 민간 전문가 20여 명이 '항공운항 안전·공항시설 개선' 분야에서 활동한다. 국토부는 운영 과정에서 주제에 따라 관련 전문가를 추가로 임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위원회는 구체적으로 ▲저비용 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 및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을 비롯해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내실화 등 항공 안전체계 쇄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이와 함께 위원회 운영 과정에서 민간 전문가가 제시하는 의견을 적극 반영해 우리나라 항공 부문의 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을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향후 위원회는 항공·공항 각 분야의 현장점검과 국내·외 사례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오는 3월 말까지 항공 안전 전 분야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를 통해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수렴 후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 발생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며 "우리나라 항공안전 시스템의 신뢰 회복을 위해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 3일 김해공항 화재 현장에서 진행한 합동 감식을 마쳤다. 이날수집된 증거물은 정밀 감식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이송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