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회장, 정책금융·유관기관장 및 금융협회장들과 개최한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자료=금융위원회)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 수출기업들 타격이 예고된 가운데 시중은행 등 금융권이 기업 지원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내수 부진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총 8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영업점 전결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기존 1.5조원에서 3조원으로 늘리고,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등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우대 프로그램’ 규모도 3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KB금융그룹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원을 특별출연해 제조 및 수출기업에 8400억원 규모의 보증서를 공급한다. 아울러 미국의 관세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자동차 관련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맺고 총 1500억원 규모의 저금리 동반성장 상생 대출도 신속히 공급키로 했다.

신한금융그룹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10.5조원 규모의 선제적 금융지원 방안’을 내놨다. 기업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통해 6.4조원을 지원하고,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Hi-pass 쿠폰’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 신규 대출 지원을 위한 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을 통해 5000억원을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 특별출연을 통해 수출기업 등 중소기업 신규 대출 지원에 6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6일 4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발빠르게 지원책을 내놨다. 하나은행을 통해 총 6조원 규모의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고, 관세 조치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자동차 부품업체의 운전자금 지원을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240억원 규모의 신규 보증협약을 이달 중 체결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은 관세 조치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기업에 대해서는 원금상환 없이 기한연장, 분할상환 유예, 금리감면, 신규자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혜택도 병행하기로 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지난 7일 오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상호관세 피해 지원TF’ 회의를 개최하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 기업을 최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시장안정, 고객보호, 리스크관리 등 3대 기조에 맞춰 빠른 시일 내 개별 고객의 니즈에 맞는 지원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한편,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7일 오전 국내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불러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 지원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또한 이날 오전 점검회의를 열고 “원내 비상대응 체계 가동을 통해 산업별 피해분석, 금융시장 안정, 금융권 건전성 관리 등에 총력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주관한 회의 참석 후 즉각 비상경영태세로 전환했다”며 “전국의 기업 RM들이 즉시 수출입 기업 등에 대한 현장 점검과 자금 수요 파악 등에 나서는 등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