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사진=삼성전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1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이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밝혔지만, 곧바로 "한두 달 안에 개별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시장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한숨을 돌렸던 상황에서 다시금 불확실성이라는 먹구름을 마주하게 됐다.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기조를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예외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난 금요일(11일) 밝힌 상호관세 제외 품목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라며 "이들 제품은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가는 과정에 있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는 지난 11일 반도체, 스마트폰, 컴퓨터 등 주요 전자기기를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에 따르면 이는 관세에 예외를 두는 것이 아닌, 개별 품목 관세 부과에 앞서 잠시 유예를 두는 것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결국 전 세계 공장에서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기기를 생산하는 애플·삼성 등은 타격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대표적으로 애플 아이폰의 경우 전체 생산량의 90%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현 관세 수준(125%+펜타닐 관세 20%)이 부과될 경우 3배 이상의 가격 폭등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 역시 전체 생산량의 40% 가량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다. 베트남에는 국내의 약 두 배 수준인 46%의 관세가 예고된 만큼 향후 관세가 현실화되면 경쟁력 약화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해당 전자제품들이 이번 관세에서 제외됐지만 한 두달 안으로 관련 무역 조사에 따라 별도의 관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스마트폰·컴퓨터 역시 조사 대상에 포함되며, 이들 품목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형태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삼성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상황을 지켜본다는 방침이지만, 인도(상호관세율 26%) 등 신흥시장으로 생산라인을 다변화하며 관세 리스크에 대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관련해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인도에 2개의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한 곳이 여유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타룬 파탁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이사는 "삼성전자는 트럼프 관세로 인한 영향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미국과 협상을 유리하게 마무리한다면 프리미엄 기종의 수출도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