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T)
SK텔레콤이 해킹 공격을 받아 유심관련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비상대책반을 편성해 정확한 사고 원인 조사에 돌입했다.
22일 SK텔레콤은 지난 19일 오후 11시 경 악성코드로 인해 고객들의 유심 정보가 일부 유출된 정황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현재 정확한 유출 원인과 규모 및 항목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 중"이라며 "관련 법률에 따라 2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 사실을 신고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유출 가능성을 인지한 후 해당 악성코드를 즉시 삭제했으며, 해킹 의심 장비도 격리 조치를 마친 상태다.
또 현재로선 해당 정보가 실제로 악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고객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 전수 조사 ▲불법 유심 기변 및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 강화 ▲피해 의심 징후 발견 시 즉각적인 이용정지 및 안내 강화 등의 조치를 마쳤다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 또한 KISA와 함께 비상대책반을 구성, 사고 원인분석 및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전문가들을 현장에 파견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개인정보 유출 등 피해현황, 보안취약점 등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홈페이지를 통한 고객 고지와 함께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원하는 고객들을 위해 홈페이지와 T월드를 통해 유심보호서비스(무료)를 제공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