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15일 광양 유세에서 엄지 들어보이는 이재명 후보 (우) 같은날 서울 영등포구 '자랑스러운 중소기업인협의회 조찬 강연'에 참석한 김문수 후보 (사진=연합뉴스)
다가오는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에너지 정책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모두 ‘에너지 도로’ 구상을 내세웠지만, 전력 인프라에 대한 철학과 실행 전략은 판이하다. 두 후보의 전력 정책은 탄소중립, 산업 경쟁력, 국민 삶의 질에 직결되는 선택지를 제시하고 있다.
■ ‘에너지 고속도로’ vs ‘에너지 도로망’
이재명 후보는 ‘U자형 해상 전력망’을 골자로 한 ‘에너지 고속도로’를 제안했다. 남서해안 해상풍력을 수도권과 중부 산업지대로 끌어올 수 있는 전력망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2030년까지 서해안 일대에 초고압 송전망을 완성하고, 2040년까지 이를 한반도 전역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후보는 이와 함께 지역 참여형 ‘햇빛·바람 연금’, RE100(재생에너지 100%) 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 확대도 약속했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에너지 도로망’을 내걸었다. 전국 전력망을 고속도로·국도·지방도처럼 정교하게 설계하겠다는 비유적 표현으로, 원전 중심의 공급 안정성을 강조한다. 대형 원전 6기의 차질 없는 건설과 함께 소형모듈원전(SMR)의 조기 상용화를 추진해 원전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산업용 전기료를 ‘반값’으로 내리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 이미 시작된 주도권 싸움…‘RE100이냐 반값 전기료냐’
두 후보의 전략은 결국 국가, 시장, 지역 간 주도권 경쟁으로 귀결된다. 이재명 후보는 중앙정부가 계통망을 선도적으로 확장해 지역 경제와 연계된 분산형 전원 수용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기존 한전 중심 구조를 유지하면서 민간·지역의 자율성을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전문가들은 양 측의 공약 모두 구체성과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한다. 한 정책 전문가는 ““이 후보의 구상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병목현상을 구조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라며 “다만 막대한 재정과 사회적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후보에 대해서는 “원전 기반 안정화라는 보수진영의 전통적 접근이지만, 글로벌 흐름과 기술 다변화 측면에서 갭이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 표심 자극하는 전략…승자에겐 ‘디테일’ 있어야
이재명 후보는 전력 생산지에 지역 주민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햇빛·바람 연금’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분산형 에너지 확산을 동시에 노린 전략이다. 김문수 후보는 생활 물가와 직결된 전기요금을 주요 타깃으로 삼고 있다. 원전 확대를 통해 국민 전체의 전기요금 부담을 낮추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산업계는 두 후보의 공약이 자사 전력 수급과 비용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RE100 이행을 통한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이재명 후보의 맞춤형 지원이, 단기적 매력은 반값 전기료에 더 있다.
21대 대선에서 에너지 정책은 단순한 기술·공약 문제가 아니라 전력 시스템의 구조 개편과 국민 삶의 방향성까지 가늠하는 분기점이 되고 있다. 이제 ‘누가 미래 에너지의 지도를 더 현실적으로, 더 안전하게, 더 멀리 내다보고 있지 선택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