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새 정부의 주주 친화 정책 기조에 따라 자사주 소각에 소극적이던 제약바이오업계에서도 주주 가지 제고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를 담은 상법 개정안이 잇따라 발의되면서 선제적인 주주환원 작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유한양행, 휴젤, 보령 등 전통제약사는 물론 바이오기업인 셀트리온까지 대규모 자사주 소각을 단행하고 있다. 특히 셀트리온은 업계에서 가장 많은 9000억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셀트리온은 '2027년까지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세웠는데 이에 발맞춰 자사주 매입도 공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셀트리온 측은 "기업가치가 시장에서 과도하게 저평가돼 있다고 보고 매입·소각 정책을 지속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유한양행은 지난 5월 창사 이래 첫 자사주 소각에 나섰다. 총 235억원 규모로 이번 정책은 작년 10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Value-up)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유한양행은 2027년까지 자사주 1%(약 1200억원) 이상을 소각하고 같은 기간 주당배당금(DPS)을 2023년 대비 총 30% 이상 증액하겠다는 방침이다. 휴젤은 지난해 사업보고서에서 올해 최소 20만주에서 최대 50만주의 자사주를 소각할 계획이라 밝힌바 있다. 지난 5월 30만(500억원 규모)주를 소각했으며 이는 지난해 영업익과 맞먹는 규모다. 연내 20만주의 추가 소각이 이뤄진다면 회사의 자사주 비율은 약 11%까지 감소할 수 있다.

보령 역시 지난 2월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인 100만(102억원 규모)주를 소각했다. 이는 발행주식 총수의 약 1.2%에 해당한다. 또한 보령은 지난 5월 45억원 규모의 자사주 51만 7572주를 임직원에게 지급한 바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자사주 소각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현재 국회에서 자사주 의무 소각을 담은 3차 추가 상법개정안이 논의 중이기 때문이다. 오너일가 지분율이 높은 제약업계는 금융권등 다른 업종과 달리 외부압박이 적었다. 이에 따라 자사주는 스톡옵션 목적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상법개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정부의 정책에 발을 맞추기 위해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업계는 자사주 소각으로 유통 주식 수가 감소하면 주당순이익이 높아져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사주 비중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또한 자사주를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자사주 소각에 나서면 주가 부양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법개정안 등 주주 친화 및 주주환원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제약업계도 이 행보를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는 단기적은 주가 부양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업 신뢰도를 높이는 데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