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가 국내에도 밀려왔다.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물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뷰어스는 이번 사태가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을 전반적으로 점검한다. -편집자 주
서울의 한 대형마트의 식료품 코너. (사진=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하면서 국내 경기는 안갯속이다. 유가가 빠르게 오르며 물가 상승이 불가피하고, 불확실성이 커지는 형국이다. 수출과 투자가 움츠러들면서 소비 위축과 성장률 둔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기업의 수출과 에너지·원자재·곡물 수급,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키울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렇지 않아도 상승세인 물가를 더욱 밀어 올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생산 비중이 높은 석유, 천연가스, 주요 금속, 밀 등은 산업에서 비중이 크고 반드시 써야 하는 품목"이라며 "이런 품목의 가격이 오르면 체감 물가가 굉장히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 따른 국제 교역 차질도 예상된다. 글로벌 교역 차질은 공급망 차질과 함께 고공 행진 중이던 물가를 더욱 강하게 끌어올릴 전망이다.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2.2%는 수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일각에선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여년 만에 4%대를 기록할 수 있다고 걱정한다.
국내유가 상승은 우리 경제 전반의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진다. 앞서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국제유가가 배럴당 연 평균 100달러로 오를 경우 연간 소비자물가가 1.1%포인트 추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여년 만에 4% 안팎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3.2%)과 11월(3.8%), 12월(3.7%)에 이어 지난달(3.6%)까지 4개월 연속 3%대 올랐다. 주로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가격 상승 때문이었다.
양국 간 군사 충돌 격화에 따라 국제유가가 더 오르면 물가 상승률이 3%대 중후반에서 4%대 안팎으로 치솟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월간 소비자물가가 4%대 상승률을 기록하면 이는 지난 2011년 12월(4.2%) 이후 처음 있는 일이 된다.
이미 한국은행은 지난달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존(2.0%)보다 1.1%포인크 높인 3.1%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전면전으로 인해 제재가 강하게 나온다면 원자재 수급 불균형이 심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국내 물가를 지금 예상한 것보다 더욱 올리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사회가 러시아에 대한 수출 제재에 나서는 것도 우리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미국이 반도체 등 첨단기술 제품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는 포괄적인 제재 방안을 발표해 우리나라 반도체·자동차 기업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게 됐다.
우리나라는 대러 수출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세계 각국이 수출 제재에 동참하면 세계적으로 교역이 위축되고 경기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르는 와중에 수출이 둔화하면 무역 적자가 지속될 우려도 있다. 무역수지는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12월 20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선 뒤 지난달 적자 폭을 키웠다.
업계 전문가는 "수출이 줄어들면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고 소득 감소로 이어지면서 소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물가 상승도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