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구 미아2재정비촉진구역 현장. (자료=독자 제공) 강북 재개발·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는 미아2재정비촉진구역(미아2구역)이 삐걱이고 있다. 지난해 새 조합장 선출 이후 우선적으로 시공사 선정을 계획하고 있으나 설계 변경 가능성에 따른 분담금 증가 우려로 갈등이 심화하는 모양새다.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미아2구역 조합이 이르면 8월에 현장설명회를 열고 시공사 선정에 나선다는 계획이었으나 내부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합은 지난해 5월 신임 조합장을 선출하고 새 집행부를 꾸린 뒤 빠르게 시공사 선정 작업에 나섰다. 2016년 조합설립 인가 이후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지 못하면서 장기간 표류한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다. 조합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사업에는 진척이 없다.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기에 앞서 재정비 촉진계획 변경을 추진 중이나 조합원의 동의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교육지원청의 요청에 따라 기존에 계획한 단설유치원을 송천초 병설유치원으로 통합하고 초등학교 부지도 면적을 넓힌 내용 등을 담은 재정비 촉진계획을 안건으로 상정했으나 조합원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조합은 이 가운데 시공사 조기 선정 카드를 꺼냈다. 서울시가 지난해 7월 변경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에 따라 조합설립 인가 이후로도 시공사를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겠다는 거다. 조합 측은 시공사 조기 선정으로 설계와 시공상의 문제점을 사전검토가 가능하므로 사업기간을 6개월 이상 단축할 수 있고 입찰보증금 중 일부는 무이자이므로 조합 부채도 정리할 수 있다고 조합원 설득에 나섰다. 그러나 조합 내부에서는 향후 재정비 촉진계획 변경 이후 설계를 다시 확정지었을 때 공사비 재산출로 인한 분담금 증가 가능성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조합원은 "시공사를 조기 선정한다면 구청과 서울시에서 향후 재정비 촉진계획을 새롭게 확정했을 때 시공사와 다시 변경 계약을 하게 되고 이에 따른 분담금 폭탄이 있다는 걸 여러 매체를 통해 접해 걱정이 된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실제로 최근 행당7구역은 시공사가 물가 상승과 설계 변경 비용 280억원을 포함한 526억원 규모의 공사비 증액을 요청해 조합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공사비 검증을 통해 증액 요청액의 53%인 282억원으로 조합과 시공사가 합의토록 했다. 정비계획수립이나 조합설립 단계에서 시공사를 선정한다면 확정되지 않은 설계안으로 공사비 입찰을 진행할 수 밖에 없고 조합원 분담금은 시공사 선정 당시와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재개발이 장기간의 사업인 만큼 분담금의 변동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으나 조합 내부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오해의 소지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설계변경도 마찬가지로 추가 분담금이 발생할 수 있는 요소로 분쟁 방지 차원에서는 최대한 줄이는 게 원활한 사업 추진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아2구역은 미아동403번지 일대에 최고 35층 높이의 3500여 가구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사업비는 1조7000억원 규모로 삼성물산, 롯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강북 최대어 미아2구역, '분담금 폭탄' 우려에 내부 갈등

조기 시공사 선정으로 설계 변경 시 분담금 증가 우려 목소리

정지수 기자 승인 2024.06.27 13:31 | 최종 수정 2024.06.27 13:41 의견 0
서울 강북구 미아2재정비촉진구역 현장. (자료=독자 제공)

강북 재개발·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는 미아2재정비촉진구역(미아2구역)이 삐걱이고 있다. 지난해 새 조합장 선출 이후 우선적으로 시공사 선정을 계획하고 있으나 설계 변경 가능성에 따른 분담금 증가 우려로 갈등이 심화하는 모양새다.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미아2구역 조합이 이르면 8월에 현장설명회를 열고 시공사 선정에 나선다는 계획이었으나 내부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합은 지난해 5월 신임 조합장을 선출하고 새 집행부를 꾸린 뒤 빠르게 시공사 선정 작업에 나섰다. 2016년 조합설립 인가 이후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지 못하면서 장기간 표류한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다.

조합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사업에는 진척이 없다.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기에 앞서 재정비 촉진계획 변경을 추진 중이나 조합원의 동의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교육지원청의 요청에 따라 기존에 계획한 단설유치원을 송천초 병설유치원으로 통합하고 초등학교 부지도 면적을 넓힌 내용 등을 담은 재정비 촉진계획을 안건으로 상정했으나 조합원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조합은 이 가운데 시공사 조기 선정 카드를 꺼냈다. 서울시가 지난해 7월 변경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에 따라 조합설립 인가 이후로도 시공사를 우선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겠다는 거다.

조합 측은 시공사 조기 선정으로 설계와 시공상의 문제점을 사전검토가 가능하므로 사업기간을 6개월 이상 단축할 수 있고 입찰보증금 중 일부는 무이자이므로 조합 부채도 정리할 수 있다고 조합원 설득에 나섰다. 그러나 조합 내부에서는 향후 재정비 촉진계획 변경 이후 설계를 다시 확정지었을 때 공사비 재산출로 인한 분담금 증가 가능성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조합원은 "시공사를 조기 선정한다면 구청과 서울시에서 향후 재정비 촉진계획을 새롭게 확정했을 때 시공사와 다시 변경 계약을 하게 되고 이에 따른 분담금 폭탄이 있다는 걸 여러 매체를 통해 접해 걱정이 된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실제로 최근 행당7구역은 시공사가 물가 상승과 설계 변경 비용 280억원을 포함한 526억원 규모의 공사비 증액을 요청해 조합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공사비 검증을 통해 증액 요청액의 53%인 282억원으로 조합과 시공사가 합의토록 했다.

정비계획수립이나 조합설립 단계에서 시공사를 선정한다면 확정되지 않은 설계안으로 공사비 입찰을 진행할 수 밖에 없고 조합원 분담금은 시공사 선정 당시와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재개발이 장기간의 사업인 만큼 분담금의 변동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으나 조합 내부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오해의 소지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설계변경도 마찬가지로 추가 분담금이 발생할 수 있는 요소로 분쟁 방지 차원에서는 최대한 줄이는 게 원활한 사업 추진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아2구역은 미아동403번지 일대에 최고 35층 높이의 3500여 가구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사업비는 1조7000억원 규모로 삼성물산, 롯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GS건설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뷰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