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왼쪽), 현대차 아이오닉 5 N. (사진=미 의회, 현대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47대 대통령 재선에 성공하면서 한국 산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때보다 보호무역과 탈중국 기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보편 관세 10%’ 도입과 ‘수입차에 최대 100% 관세’ 등을 예고하고 있어, 현대차·기아 등 한국 자동차 업계는 대응 마련이 시급하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이렇게 될 경우 국내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고 미래자동차 발전까지 늦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현대차·기아, 미국 관세 10% 적용 시 ‘수익성 악화’…고부가차 수출 효과 줄어
12일 법무법인 태평양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한다는 명목 아래 모든 수입품에 대해 최소 10%, 중국산 수입품에 최소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국 자동차 업계 등 산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법무법인 태평양은 바이든, 트럼프 행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성김 전 미국 대사를 고문으로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 재선에 따른 한국 산업계의 영향에 대해 전망을 이처럼 내놨다.
현재 한국 자동차는 매달 수출에서 0% 관세를 적용받지만, 만약 트럼프가 10% 관세를 부과할 경우 직접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이 크게 약화될 우려가 나온다.
태평양은 보고서에서 “한국 기업은 가격 정책을 재검토하거나 미국 현지에서 직접 제조해 판매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자동차 등 한국의 공급망도 중국과 밀접하게 연결돼있기 때문에 고율의 보편적 관세를 피하기 위해 공급망을 재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은 한국 자동차의 최대 수출국이다. 전체 수출의 약 50%를 차지한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미국 판매 차량 중 65%가 국내 생산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에서 165만대를 판매했다. 미국 내 생산을 위해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본격 가동된다 해도 최대 100만대 수준을 감당할 수 있다. 이에 약 65만대가량은 여전히 한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보내야 한다. 여기에 10% 관세를 부과받게 되면 현대차·기아는 매달 3000억~60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부가 차종 판매도 타격을 받아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 제네시스나 고급 SUV 등의 생산은 주로 한국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현대차의 경우 올 1~3분기 누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28조6075억원, 11조4174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각각 4.7%, 0.4% 올랐다. 같은 기간 판매량이 3.2% 감소하고 북미지역 보증 연장 충당금이 있었음에도, SUV 등 고부가 차량의 판매 덕분이다.
하지만 트럼프의 10% 관세 등이 반영되면 이러한 수익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 현대차 “미국 생산 확대”…전문가 “국내 생산 줄이면, 부품업계·미래차 타격”
현대차·기아는 대응 방안으로 북미 생산 역량을 최대 100만대 수준으로 늘리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이렇게 할 경우 국내 중소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게돼 결과적으론 미래차 발전도 늦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대차는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인 HMGMA에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 비중을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정하고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미 현대차는 HMGMA의 전체 생산능력의 1/3을 하이브리드차 생산이 가능하도록 변경했다.
앞으로 이 비중을 더 늘려 미국 내 생산량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지난 2분기 경영실적 설명회에서 이승조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은 미 대선 관련 대응으로 “현대차의 강점인 유연한 생산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판매 물량을 대폭 늘릴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친환경 정책인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제혜택을 축소할 경우에 대한 답변이기도 하다. 현지 고부가가치의 하이브리드차를 늘리면, 관세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다.
하지만 무조건 미국 현지 생산만 늘린다고 답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생산을 미국 생산으로 돌리면 국내 부품사를 비롯해 내수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 원장은 “트럼프는 우리나라와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라며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방안이 있겠지만, 이 경우 국내 생산이 줄어들어 중소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국내 부품업계의 타격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부품 업계의 발전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데 이를 늦추게 되고, 국내 경제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정부와 기업, 외교적 접근 등 다양하게 논의돼야 하는 사안”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