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은행에서의 사모펀드 판매제한 조치가 시행되기도 전에 주춤하는 모양새다. 현 상황에서 해외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에 관한 최종 개선방안이 확정되면 내년도 파생상품 시장은 급격히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 계좌 수는 4만 5147개로 6월 말보다 1만4368개로 24.1% 감소했다. 8월 터진 해외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사태 여파가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같은 기간 증권사의 사모펀드 판매 계좌 수는 8만545개에서 8만3382개로 2837개(3.5%), 보험사는 1만86개에서 1205개로 119개(11.0%)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행의 판매 계좌 비중은 6월 말 41.95%에서 10월 말 34.60%로 떨어진 데 반해 증권사 비중은 56.77%에서 63.91%로 올랐다.
은행별로는 KEB하나은행의 사모펀드 판매 계좌 수가 6월 말 1만5966개에서 10월 말 1만1173개로 30.0% 줄어들었으며, 우리은행은 1만5727개에서 1만174개로 35.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7792개에서 7264개로 6.8% 줄었고, KB국민은행은 6127개에서 7225개로 17.9% 늘었다.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 잔고도 6월 말 기준 28조9634억원에서 10월 말 26조6119억원으로 8.1% 줄어들었다. 반면 증권사는 307조7420억원에서 325조2930억원으로 5.7% 늘었고 보험사는 3조293억원에서 3조2120억원으로 6.0% 증가했다.
업계는 해외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 사태로 인해 은행 전반적으로 소비자 신뢰를 잃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는 계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12일 해외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에 관한 최종 개선방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14일 ‘금융상품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한 종합 개선방안’ 발표 당시 파생상품에 투자하면서 원금 손실 가능성이 20~30% 이상인 고난도 사모펀드의 경우 향후 은행이 판매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을 담았다.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사모펀드는 해당하지 않고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사모펀드가 주요 대상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DLF 사태로 인해 당분간 은행권들은 정책적으로 사모펀드 판매에 신중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며 “DLF종합대책까지 발표된다면 신탁판매도 급격히 줄어들어 내년도 파생시장은 급격히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