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연이은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대응해 '안전특별진단TF' 출범과 하도급 구조 혁신을 핵심으로 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내놨다. 그룹 차원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안전 예산을 확대하는 등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 개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대책은 31일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TF와 고용노동부, 포스코그룹이 공동으로 개최한 간담회에서 공개됐다. 포스코그룹은 "오늘 발표한 내용을 차질없이 실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과 주요 계열사 대표들이 참석해 그룹의 안전관리 현황과 향후 계획을 보고하고 중대재해 재발 방지 대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포스코그룹은 설명했다.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과 관계자들이 지난 29일 인천 연수구 송도사옥에서 연이은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한 담화문 발표에 앞서 관계자들과 고개를 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연합)

포스코그룹은 31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최근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고인과 유가족께 깊은 애도와 진심 어린 사과를 드린다"며 "사고의 근본 원인을 찾아 모든 자원과 역량을 동원해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안전관리 주체를 사업회사에서 그룹 전체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8월 1일부로 그룹회장 직속의 '그룹안전특별진단TF팀'을 출범시키기로 했다. TF에는 학계, 유관기관, 노동조합, 직원 대표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한다. 그룹 전체 안전관리 체계를 진단하고 구조적 개선 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은 "근로자를 보호의 대상이 아닌 예방의 주체로 인식하고 현장 근로자가 안전경영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하도급 구조 혁신도 핵심 과제다. 포스코그룹은 다단계 하청구조에 따른 이른바 '위험의 외주화'를 차단하기 위해 원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하도급법 위반 시 거래 중단이나 계약 해지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다.

안전 예산도 대폭 확대된다. 포스코그룹은 "안전은 비용이 아닌 투자"라는 인식 아래 매출의 일정 비율 이상을 안전예산으로 편성하고 예산은 '선집행 후보고' 원칙에 따라 집행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전문회사' 설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문회사는 글로벌 안전 우수기업 벤치마킹, M&A 등을 통해 설립 가능성을 검토하며,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안전기술, 진단 솔루션, 공사안전 플랫폼 등을 중소기업과 하청업체에 제공할 계획이다.

산재 피해자 유가족을 위한 지원책도 마련한다. 장학사업과 유족 지원을 위한 '산재가족돌봄재단' 설립도 추진된다.

포스코그룹은 "친노동, 노동안전이 기업 경쟁력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이번 계획을 반드시 실행하겠다"며 "산업재해 예방을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모든 구성원이 안전하게 퇴근하는 문화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