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승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장. (사진=김태현 기자)

삼성전자가 가전과 AI와의 연결성을 강화한다. AI가 직접 이용자를 이해하고, 돌보며 문제를 해결해주는 AI 홈 경험을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8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 스튜디오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를 개최하고,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날 문종승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장은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혁신과 함께 기기 간 연결과 AI 기술을 강화해 혁신적인 AI 홈 경험을 제공하겠다"며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 출시해 변화를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AI 가전 솔루션을 발표했다. 누구나 쉽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Easy to Use), 사용자를 돌보며(Care),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Saving) 솔루션을 기반으로 AI가 이용자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먼저 'AI 홈' 터치스크린 솔루션을 통해 이용자는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모든 가전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AI 홈' 터치스크린은 ▲와이파이 ▲직비 ▲매터 스레드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별도의 허브 없이도 조명과 스위치 등 다양한 기기까지 조작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스크린이 탑재된 패밀리허브 냉장고를 출시한 이후 세탁건조기·슬라이드인 레인지 등에도 스크린을 탑재해 편의성을 높인 바 있다. 올해는 일반 냉장고와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오븐까지 스크린 탑재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분, 인식할 수 있는 '보이스ID' 기능으로 업그레이드된 '빅스비'를 소개했다.

일례로 냉장고 앞에서 "빅스비, 내 일정 알려줘", "내 사진 보여줘"라고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해 일정과 갤러리 속 사진을 불러와 보여주는 식이다. 해당 서비스는 삼성전자의 '스마트싱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되며, 갤럭시 폰은 물론 아이폰에서도 모두 이용 가능하다.

이 밖에 삼성전자는 일정 시간 내 냉장고를 열거나 정수기를 사용하는 등 일상 활동이 감지되지 않거나 빈 집에 가전제품의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즉시 알람을 보내고, 로봇청소기를 통해 원격으로 집 안을 둘러 볼 수 있는 '홈 모니터링' 기능 등 가족과 집을 돌보는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했다.

삼성전자의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에 탑재된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해 가족 간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김태현 기자)

■ 하드웨어 혁신과 'AI'의 결합…'비스포크 AI' 신제품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 신제품을 공개했다.

먼저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는 컴프레서와 반도체 소자가 함께 구동하며 최적의 효율을 내는 방식의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능을 갖췄다.

특히 올해는 9형 스크린을 탑재하고 프리스탠드부터 키친핏까지 라인업을 확장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9형 스크린에서는 일정·날씨·추천 식단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형태의 '데일리 보드'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신선식품을 넣거나 뺄 때 자동으로 인식해 푸드리스트를 만드는 기능도 'AI 비전 인사이드 2.0'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인식되는 식품 종수가 33종에서 37종으로 확대됐고, 이용자는 'AI 푸드 매니저'를 통해 냉장고에 자주 보관하는 가공·포장 식품을 최대 50종까지 추가로 인식·등록할 수 있다.

2025년형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는 국내 최대 25kg 세탁 용량과 18kg 건조 용량을 갖췄고, 성능 역시 향상됐다. 해당 제품은 열교환기 구조와 예열 기능이 개선돼 쾌속 코스 기준 79분만에 세탁을 마칠 수 있다.

프리미엄 세탁건조기 '인피니트 AI 콤보'. (사진=김태현 기자)

인피니트 라인의 세탁건조기 '인피니트 AI 콤보'도 새롭게 선보인다. 인피니트 라인은 알루미늄·세라믹·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를 사용해 강한 내구성과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디자인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025년형 '인피니트 AI 콤보'는 가벼운 터치만으로 열리는 '히든 도어'로 돌출되는 부분없이 매끈한 플랫 디자인을 적용했다"며 "메탈 본연의 순수한 질감을 살린 '리얼아트스틸' 소재로 고급스러움과 내구성을 모두 갖췄다"고 말했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스팀' 청소기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청소 성능과 편의성을 자랑한다.

해당 모델은 삼성전자만의 특허받은 모터 기술을 탑재해 흡입력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끌어올렸다. 'RGB 카메라'와 '액체 인식 센서'를 통해 불투명 액체뿐만 아니라 투명 액체까지 모두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스포크 AI 스팀'은 최대 200RPM의 회전 물걸레로 찌든 때와 액체 오염물을 닦아내고, 구석이나 벽면 등을 감지하면 브러시와 물걸레를 뻗어 닦아내는 '팝 아웃' 기능을 갖춰 사각지대 없이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물통과 오수통 관리가 필요없는 자동 급배수 방식이 적용돼, 편의성도 강화됐다. 자동 급배수 방식과 일반 방식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다.

'비스포크 AI' 미디어행사 Q&A 세션. (사진=김태현 기자)

AI 거품론에도…삼성전자 "AI 비중 꾸준히 늘어날 것"

이어진 Q&A 세션에서는 삼성전자 주요 관계자들이 질문에 답변했다.

먼저 최근 불거진 AI 거품론에 대해 문종승 개발팀장은 "시장에서 AI에 대한 잠재적인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판매량 역시 이에 맞춰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전 제품에 AI 혁신을 적용해 발전시키겠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우리의 목표는 고객이 귀찮고 어렵고 힘들어하는 문제를 AI를 활용해 스스로 알아서, 유기적으로 연결해 해결하는 것"이라며 "기존 AI 솔루션을 고도화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솔루션을 접목해 개선하고 있다. 특히 가전 제품은 10년 넘게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염두에 두고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보안에 대한 자신감도 드러냈다. 양혜순 MDE전략팀장은 "이번 '비스포크 AI' 신제품에는 일부 중국 부품들도 포함돼 있지만, 보안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엄중한 선별 절차를 거쳤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모든 가전은 보안 시스템 '녹스 매트릭스'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주기적으로 서로 보안 상태를 체크한다. 특히 개인정보의 경우 클라우드에 보관하는 것이 아닌, 기기 자체에 온디바이스 방식으로 보관되기 때문에 유출 가능성이 현저히 적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문종승 개발팀장은 "삼성은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일상을 바꾸는 제품을 지속 출시해 세상의 변화를 선도해가겠다"며 "이번 가전 제품을 통해 삼성이 어떻게 AI 홈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일상을 진화하고 혁신하는지 느껴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